선생님 마음을 아시나요?

2019.05.08 10:21:28

푸른 숲의 뻐꾹새 소리가 찔레꽃에 내려앉고 진종일 우는 산비둘기 소리는 송홧가루를 타고 오월의 이랑 속으로 흩어진다. 흐드러진 이팝꽃 가로수 아래 오 일 장날 봄꽃을 파는 노점상 진열대의 붉은 카네이션이 감사와 사랑, 존경의 충만함이 넘치는 오월을 되새기게 한다.

 

걸어온 길은 언제나 짧게만 느껴진다. 그 여정에서 많은 만남과 헤어짐이 이루어진다. 눈이 부시게 빛을 발하는 오월의 신록과 하늘을 보며 모 잡지에서 잠깐 읽은 ‘선생님 냄새’라는 이야기를 떠올린다. 사연이 주인공은 초등학교 5학년 때 예쁜 담임 선생님이 발라준 립글로스 한 방울에 선생님 냄새를 느끼며 12년 뒤 모교에 발령받아 4학년 담임이 되었다.

 

그런데 그 반 장난꾸러기 중 한 명이 회의간 사이에 목이 말라 우유를 일곱 갑이나 마시고 토하여 웃옷을 버렸다. 선생님은 처리하였지만 아이는 방과후 체육수업까지 하고 집에 가려고 한다. 선생님은 마땅한 옷이 없어 자신의 티셔츠로 갈아 입혀주니 옷에서 엄마 화장품 냄새가 난다고 킁킁대며 수업을 마치고 집에 돌아간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서도 무릎까지 오는 그 티셔츠를 입고 싱글벙글하고 다녀서 아이의 어머니는 겨우 갈아입혀 학원에 보내고 고맙다는 전화를 한다. 그 순간 주인공은 지난날 자기의 아랫입술에 한 방울 찍어준 담임 선생님의 립글로스 기억이 장미향처럼 떠올랐다. 아마 사연 속 그 아이는 선생님이 될 것이다. 관심과 사랑의 기억은 한없이 퍼지고 발효를 거듭하여 꿈을 키우게 한다. 이 짧은 사연은 잊고 있었던 십 년 전 한 이이를 떠올리게 한다. 이제는 어엿한 청년으로 성장했을 것이다.

 

읍내 근무를 마치고 면 단위 작은 학교 2학년 담임을 맡았다. 그해 가을날 아침 통학버스가 도착하고도 아이가 들어오지 않아 물어보니 화장실에 가서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화장실을 찾아가니 한쪽 모서리에 몸을 기댄 채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간밤에 먹은 것이 배탈이 나서 통학버스 안에서도 실례한 모양이었다. 얼마나 창피했을까?

 

하지만 처리를 해 주고 싶어도 마땅치 않았다. 결국 아이의 할머니와 통화를 한 뒤 수건과 신문지를 승용차 뒷좌석에 펼쳐 십 리나 떨어진 집으로 갔다. 아이의 할머니는 선생님을 고생시켜 죄송하다며 씻기고 옷을 갈아입혀서 나왔다. 그리고 음료 한 병을 손에 쥐여 주시며 송구하다며 연신 고개를 숙이셨지만 별일 아니라며 아이를 데리고 다시 학교로 왔다. 그리고 쉬는 시간 그 아이는 아침의 사건은 별 것 아니라는 듯 선생님 차 탔다며 자랑을 하는 모습이 미소를 짓게 했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 그렇게 할 수 있었던 일은 아이의 용기를 잃지 않게 해야 한다는 영화 속의 한 장면도 연관이 있다. 그 영화는 60, 70년대 여름날 초등학교 이야기였다. 숙제하지 않아 골마루에서 벌서고 있는데 선생님이 무서워 화장실 간다는 말도 못 하고 바지에 실례를 한다. 마침 이 모습을 본 선생님은 물 조리개로 벌서고 있는 아이들 모두에게 물을 뿌려 실례한 아이를 덮어주는 모습이었다. 그런 대처가 없었더라면 그 아이는 오줌싸개란 별명을 붙이고 다녔을지도 모른다. 선생님의 지혜가 존경스러웠다.

 

지금 우리 생활은 풍족하다. 모든 것은 물질의 손익으로 연관되는 듯 보이지만 아직도 교단에는 선생님과 제자 사이에 사랑이 숨 쉬고 있다. 출생률 저하로 아이 한 명 한 명이 더 귀하고 맞벌이 가정이 많아 학교와 선생님이 모든 것을 돌봐줘야 하는 상황이다. 그래도 현장의 선생님은 어려움은 뒤로 언제나 사랑과 관심으로 아이들과 함께하고 있다.

 

요즘 교직하면 안정된 직업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모든 직업이 힘들겠지만 특히 교직은 사랑과 열정, 인내가 더 필요한 직업이다. 지난 1월이었다. 주변의 만류도 뿌리치고 고용 휴직을 내고 교육의 열정을 더해 본다고 아프리카의 보츠와나로 교육활동을 떠난 젊은 선생님이 있었다. 한 달 후 졸업식 날 그곳에서 가르치는 아이들과 함께 졸업 축하영상을 보내왔다. 영상 속의 모습은 그 곳의 교육환경이 얼마나 열악한지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검게 그을린 선생님의 얼굴을 보면서 가르침, 사랑, 열정이 없으면 어려운 직업이 교직이 아닌가 생각하며 감사의 마음을 가졌다.

 

얼마 있지 않으면 스승의 날이다. 우리나라 모든 선생님은 스승의 날을 부담스러워하며 차라리 없앴으면 하는 바람이다. 하지만 아직도 사랑의 뭉클함을 던져주는 큰 바위 얼굴 같은 선생님들이 있기에 교직은 보람 있는 곳이다. 세상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고 기죽을 필요 없다. 지금 이 시각도 꿋꿋하게 교단을 지키며 초롱초롱한 미래의 꿈을 키우고 있는 우리 선생님께 박수를 보내고 싶다.

 

아이들은 좋아하면 닮고 싶어 한다. 미당 서정주 시인이 쓴 ‘첫사랑의 시’를 보면 초등학교 3학년 열 두 살인 남자아이가 예쁜 여선생님을 너무 좋아하여 공부도 첫째를 노려서 하고 손톱도 그분 같이 깎고 옷매무새도 더 착하게 보이려 했다고 한다. 아마 그 아이도 자라서 선생님이 되지 않았을까? 선생님의 마음은 햇솜 같은 부드러움으로 오월의 바람에 풀 파도 일렁이게 하는 사랑이다.

 

장현재 경남 해양초 교사 qwe85asd@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