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의 창가에서

2019.06.24 09:06:03

유월 논두렁 밭두렁 눈길이 닿는 곳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개망초가 무리를 지어 꽃을 피우고 있다. 억새 같은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잡초로 취급받는 풀이다. 길어진 낮, 산 그림자 늘어지는 해 질 녘 무논, 언덕 밑에서 들려오는 무당개구리의 울음소리에 핀 개망초꽃은 유월의 의미를 더하게 한다.

 

개망초는 망초, 왜(일본) 풀, 계란꽃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이 풀은 농사짓는 농부에게는 잡초이며 골칫거리지만 뽑혀서는 유기물이 되어 또 다른 생명의 자양분이 된다. 흔히 옛 기록에는 망한 집 마당에 들어서면 쑥대밭이라 비유했지만 지금은 개망초밭이다.

 

개망초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우리의 자생종이 아닌 귀화식물이다. 조선말 개항 후 1899년 일제에 의해 경인선이 건설될 당시 미국에서 만들어져 일본을 통해 들여온 철도용 침목에 묻어 철길 주변에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05년 을사늑약 이후 1910년 일제에 의해 강제 합병되는 그해에는 유난히 많이 피어 나라가 망할 때 피는 꽃이라 하여 망초(亡草)라 불리었다.

 

개망초는 잡초처럼 질긴 저항과 생명력으로 번식력이 강하다. 이름이 개망초였지 자세히 살펴보면 민초를 나타내는 소박한 모습으로 예쁜 꽃이 숨어있다. 1980년 민주화 운동 시절에는 곧잘 시의 제목으로 많이 오르내렸다. 요즘 아이들은 이 꽃을 보고 계란꽃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운데의 노란 수술을 중심으로 돋아난 가장자리의 하얀 꽃잎이 그 모양을 닮아서이다.

 

개망초 꽃을 보면 왠지 한스러움과 비애 서글픔이 몰려온다. 나라를 망하게 한 꽃이란 오명 때문인지 더 그렇다. 이런 비애는 한때는 우리 땅이었지만 지금은 남의 땅 손길이 닿지 않는 경계의 지역에서는 더해진다. 특히 지난해 8월 중국의 지안시의 옛 고구려 유적지에서 더했다.

 

한때는 동북아시아 최강 위력을 과시했던 광개토대왕의 무덤과 많은 지배층이 묻힌 산성하 고분군에 우묵장성으로 점령한 개망초꽃들이 팔월의 파란 하늘에 대비되어 개탄게 했다. 400여 년 동안 고구려의 수도였던 곳은 세월에 묻히고 지금은 남의 땅이 되어 흔적 지우기와 역사 바꾸기의 대상으로 변했다. 흥망성쇠로 대변되는 것이 나라의 역사이며 삶의 일반적인 모습이지만 더 아쉬운 것은 우리의 기억에서 흐려지는 일이다.

 

개망초꽃 피는 유월은 아픈 달이다. 녹음에 대비되는 핏빛 희생과 헌신의 현충일과 6.25 한국전쟁이 있어 더 그렇다. 그래서 해마다 유월은 마음을 무겁게 한다. 그 마음을 일으켜 6.25 한국전쟁을 떠올리며 3학년부터 6학년 아이들에게 6.25 한국전쟁에 관하여 물어본다. 결과는 한 반에 서너 명 정도 들어본 적은 있지만 대부분은 모르고 있다.

 

이런 상황을 인지한 듯 정부에서도 해마다 유월을 호국 보훈의 달로 정하여 계기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행사를 하고 있지만 69년이 지난 오늘 자라나는 세대가 6.25 한국전쟁을 기억하는 일은 옅어지고 있다. 막연히 우리가 겪은 일이 아닌 먼 다른 나라의 일쯤으로 여기는 상황이다. 그래서 2016년 상영작 ‘인천상륙작전’ 영화의 배경과 주요 장면을 보며 6.25 한국전쟁에 관한 해설을 덧붙여 주었다. 물론 영화란 사실을 근간으로 하여 있을 법한, 있었던 일을 흥미 중심으로 재가공한 것이지만 영화의 배경을 알고 전쟁의 피해와 실상을 간접적으로 이해하는 바람이었다.

 

지금 우리 아이들은 통일 교육과 다른 시사 계기 교육을 통하여 남한과 북한이 같은 민족임을 알고 있다. 특히 얼마 전 탈북강사를 초청한 통일 교육을 통해서 북한 실상과 문제가 되는 북한 핵 문제를 이해하고 세계 평화의 중요성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교육의 힘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지나간 역사적 사실을 바르게 알고 평화를 사랑하고 함께 걸어가는 기초는 자라나는 세대에게 씨앗을 뿌리는 일이다. 단순히 50, 60대가 초중학교 시절 받은 배운 이분법적인 시각보다는 지금을 중심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평화와 번영을 함께 할 수 있는 통일 교육이 중요하다.

 

지천으로 군락을 이루어 핀 개망초 그 꽃말은 화해이다. ‘가까이 있는 사람은 행복하게 해주고 멀리 있는 사람은 가까이 다가오게 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이 꽃말처럼 분단된 남북한이 신뢰와 화해로 한 걸음 더 마주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지천으로 피어나는 유월의 개망초 꽃. 유월의 바람과 새들만 넘나드는 휴전선 비무장 지대엔 개망초꽃이 하얗게 물들이고 있을 것이다. 그 꽃을 타고 화해란 바람결이 넘쳐나 남해까지 전해지길 기대해 본다.

장현재 경남 해양초 교사 qwe85asd@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