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지원을 꺼리는 이유는 뭘까?

2019.09.26 13:25:48

성적보다 개인의 적성을 고려한 대학 선택이 중요

전문대 수시모집 마감일(9월 27일)을 앞두고 일선 고교는 학생 한 명이라도 더 유치하기 위한 대학 관계자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매년 줄어드는 학생 수에 한 명이라도 더 학생을 유치하려는 대학의 최선책이 아닌가 싶다.

 

특히 인기과와 비인기과의 양극화로 대학은 학과 간에도 적잖은 이해관계가 얹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과를 폐지해야 할 정도로 매년 지원율이 저조한 일부 학과의 경우, 그 위기감은 더하다. 그렇다고 모든 전문대가 다 그런 것은 아니다. 수도권 소재 모(某) 전문대 일부 학과의 경우 4년제 대학 못지않게 경쟁률과 내신 성적이 높다. 심지어 수능 최저학력과 면접까지 있어 합격하기란 여간 어렵다.

 

매년 학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일부 전문대의 경우, 입시 때가 되면 학생 유치를 위해 온갖 감언이설(甘言利說)로 학생들을 유혹해 보지만 학생들의 반응은 시큰둥하기만 하다. 심지어 어떤 대학은 전형료 면제라는 혜택까지 제시해 보이지만 학생들은 별 관심이 없다.

 

아직 현실은 전문대(2~3년제)의 인식이 4년제보다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인 것 같다. 한번은 학급 아이들에게 전문대 지원을 꺼리는 이유를 물어본 적이 있었다. 질문에 아이들은 여러 답을 내놓았으나 잘못 알고 있는 내용도 있었다.

 

그중 전문대는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만 가는 것처럼 인지되어 전문대 진학을 꺼린다는 한 아이의 말에 신경이 쓰였다.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고 그 아이에게 설명해주었지만, 그 말에 확신은 없었다. 아마도 그건 전문대 원서를 접수한 우리 학급의 대부분 아이의 성적이 4년제 대학에 지원한 아이들보다 좋지 않았기 때문인지 모른다.

 

지난 월요일(23일) 수시모집 여섯 군데 모두 수도권 대학에 원서를 낸 한 여학생이 교무실로 찾아왔다. 그리고 취업이 잘 되는 전문대와 학과 하나를 추천해 달라고 요구했다. 지금까지 수도권에 있는 모(某) 대학을 위해 최선을 다해 온 그 아이의 뜬금없는 주문에 당황하여 이유를 물었다.

 

그 아이는 대학 진학 문제로 지난밤 부모님과 승강이를 벌인 이야기를 허심탄회 털어놓았다. 그리고 어려운 가정형편 탓에 집을 떠나 타지에서 대학에 다니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부모님의 뜻을 거절할 수가 없어 그나마 취업이 잘되는 전문대에 원서를 넣어볼 생각이라고 했다.

 

사실 그 여학생의 가장 큰 고민은 학비보다 생활비였다. 물론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활비를 어느 정도 충당한다고는 하지만 턱없이 비싼 물가를 감수하기엔 현재 가정 형편으론 너무 벅차다는 사실을 본인도 잘 알고 있었다.

 

이렇듯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4년제 대신 전문대를 선택하는 아이들은 드문 것 같다. 내신 성적이 좋은 한 남학생은 전공하고자 하는 학과가 전문대에 개설되어 있지 않다며 전문대 자체에 아예 관심이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졸업 후 취업했을 때 4년제 졸업자와 비교 혹시나 받을 수 있는 불이익 때문에 전문대 진학을 포기한 아이들도 여럿 있었다.

 

무엇보다 학교 차원에서 대학을 아이들의 내신 성적에 따라 전문대와 4년제로 구분 짓는 것도 문제이다. 다시 말해, 내신 성적이 좋은 아이는 4년제 그렇지 않은 아이는 전문대로 진학을 유도하는 것도 학생들이 전문대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인 것 같다. 따라서 내신 성적과 관계없이 개인의 적성을 고려한 대학과 학과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매년 학생 수 감소로 앞으로 대학은 갈수록 학생 유치에 큰 어려움이 있으리라 본다. 이에 대학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학 나름대로 자구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입시 철이 다가와 주먹구구식 대학 홍보보다 학기 중에도 고교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속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는 것이 좋다. 

 

사실 27일 마감하는 전문대 수시모집 지원 횟수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4년제 수시모집 합격자와 마찬가지로 전문대 어느 한 곳이라도 수시모집에 최종 합격한 사람은 정시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김환희 강원 강릉문성고 교사 db1013@unitel.co.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