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자유인의 서재 17> 그만한 사람은 어디에도 없소

2020.04.27 11:35:20

장애인을 대하는 조선의 품격

명통시(明通寺)를 아시나요?

 

푸르름이 짙어가던 4월, 날씨는 맑고 화창한데 습관처럼 일찍 출근하여 들어선 학교도서관이 가끔은 무료해지는 날이 있었습니다. 그날이 그날 같은, 설렘이 없는 관성적인 날에는 읽던 책을 접어두고 서가를 빙 돌았습니다.

 

어디선가 보물 같은 책을 골라 잡을 기대를 하면서 하릴없이 서가를 돌다 이 책을 만났습니다. <그만한 사람은 어디에도 없소>라는 책 이름이 나를 불렀습니다. "이만한 책은 어디에도 없소!" 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는 이내 빨려들 듯 읽어 내렸습니다. 가슴 시린 이야기들이 동화처럼 펼쳐졌습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임금이 있었다니, 이렇게 자신을 사랑한 선조가 있었다니!

 

5만 원 권 지폐 뒷면에 새겨진 풍죽화의 사연을 남긴 이정의 이야기를 비롯해서 아프고 시린 조선의 위대한 인물들이, 장애를 딛고 일어선 눈물겨운 사연들이 보석처럼 빛나는 문장 속에 숨어있었습니다.

 

결코 초등학생만을 위한 책이 아니었습니다. 어른들이 동화를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를 깨닫게 한 책입니다. 감동을 주는 책이라면, 가슴 뜨거운 에너지를 전해줄 수 있는 책이라면 어찌나이를 가릴 수 있을 것인지.

 

이 책에는 장애를 가지고도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된 인물 여섯 명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사대부의 나라 조선은 신분사회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우대하고 돌본 복지 정책을 펼쳤던 모습은 감동을 줍니다.

 

장애를 가진 선비를 우대한 임금, 맹인이면서도 가야금을 연주할 수 있었던 김복산, 전란으로 팔을 다치고 훌륭한 그림을 남긴 이정, 다리가 하나 뿐인 정승 윤지완의 일화, 벙어리 대장장이 신탄재의 이야기를 읽으며 마음이 따뜻해졌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장애를 질병의 하나로 생각했습니다. 장애인은 단지 몸이 불편한 사람으로 여겼을 뿐, 일반 사람들과 차별을 두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더 관심을 가지고 보호해 주었지요. 왕들은 적극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복지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부족하면 제일 먼저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장애인을 정성껏 보살핀 가족에게는 상을 주고, 반대로 학대하는 사람에게는 큰 벌을 내렸습니다.

 

나라에서는 열러 가지 일자리를 만들어 장애인들이 스스로 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시각 장애인을 위해 '명통시(明通寺)라는 단체를 만들어서 여기에 소속된 장애인들에게 국가의 큰 제자를 담당하게 했습니다.

 

나쁜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빌어 주는 독경사, 남자들이 들어갈 수 없는 왕비나 공주의 잔치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은 모두 시각 장애인이었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능력이 있으면 장애와 상관없이 높은 관직에도 오를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이처럼 장애를 극복하고 훌륭한 일을 한 인물들이 많은데, 그들이 큰일을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자신의 노력뿐만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인정해 준 사람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여는 글 5~6쪽에서

 

등이 굽은 재상, 앞이 보이지 않는 연주가, 팔을 다친 화가, 다리가 하나뿐인 정승, 귀가 들리지 않는 신하, 벙어리 대장장이. 우리 고전 속에서 신체장애를 가잔 사람들의 이야기가 슬프게 그려진 책입니다.

 

장애를 딛고 일어서려는 사람을 가슴 뜨겁게 격려하고 받아준 위대한 임금과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에 뭉클해집니다. 조선의 역사가 500년을 지탱해 온 힘의 원천에는 바로 사람을 귀하게 여기고 안쓰러워하는 인권사상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허조의 곁에는 그의 능력을 인정해 준 태종과 세종이 있었습니다. 태종은 허조가 나라에서 하는 공사의 폐단을 아뢰자 바른 말을 하는 사람은 허조밖에 없다며 그를 칭찬하였고, 아들 세종에게 나라의 기둥과 같은 신하(柱石之臣)라고 소개하며 잘 대우할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세종 임금 역시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중요한 일들을 맡겼고, 그의 말을 귀 기울여 들었습니다. 한번은 나라에서 중요한 제사를 지내던 중 허조가 발을 헛디뎌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자 세종은 허조에게 벌을 내리기는커녕 오히려 그를 위해 계단을 넓히라고 명했습니다.

 

허조가 등이 굽은 것도, 고집이 센 것도 고집이 센 것도 세종 임금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덕분에 허조는 세종 임금을 도와 나라를 발전시키는 데 큰 공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가 곧 인간의 품격, 사회의 품격

 

지금 이 나라의 고위직 공무원 중에는 장애인들이 얼마나 자리하고 있을까요? 장애를 가진 분이 당당하게 일자리를 얻어 활동하는 모습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반 공무원 중에서도, 학교 선생님들 중에서도 장애를 가진 사람이 근무하는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고 보면 조선 시대 장애인을 위한 복지 정책이 지금보다 더 우수했음에 놀랍니다.

 

문명사회라 불리는 오늘날, 오히려 장애인을 위하는 모습은 후퇴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시설이 들어서지 못하게 반대하는 모습,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취업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현실, 장애인 가족을 둔 사람들은 죄인처럼 숨어서 키우다 못해 유기하는 일도 다반사인 현실입니다.

 

필자가 근무했던 학교에도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교실이 따로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학생들 대부분은 부모가 키울 수 없어서 포기하거나 방치하여 시설에 보내진 가슴 아픈 학생들이었습니다.

 

그 어떤 비장애인 학생들보다 더 착하고 순수한 모습을 보여주는 학생들이라서 저는 천사반 아이들이라고 불렀습니다. 다른 사람을 해코지 하거나 나쁜 말을 할 줄 모르는 맑은 영혼을 지닌 그들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웃음은 순수함 그 자체였기 때문입니다.

 

놀림의 대상이 되어 차별을 받으면서도 항의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게 우리 사회의 현실임을 생각하면 이 책이 주는 울림은 참으로 컸습니다. 흔히 하는 말로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그 나라의 수준을 알 수 있고 그 사람의 인품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사회 이곳저곳에서 갑질 논란으로 연일 시끄럽습니다. 비장애인끼리도 서로 무시하고 함부로 대하는 현실인데, 장애인이 겪는 어려움과 서글픔은 필설로 다하지 못할 것입니다. 사람의 품격을 그가 가진 외모나 신체 조건으로 홀대하는 못된 풍조는 하루빨리 없애야 할 적폐가 분명합니다.

 

국회는 공공기관이 아닌가?

 

장애인의 인권을 위해 장애인복지법을 제장한 입법기관인 국회가 오히려 장애인을 홀대하는 모습이 전파를 타고 있어서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습니다. 매년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로 만들면서까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아픔을 감내하면서 살아가는 장애인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노력은 학교에서 교육으로만, 일회성 행사로만 해서는 안 될 일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일은 생활 속에서, 직장에서 일상적인 행동으로 이루어져야 할 덕목이 분명합니다.

 

21대 총선에서 안내견과 함께 해온 시각장애인 당선자가 나오면서 국회의 안내견 출입 관행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국회는 국회법을 근거로 안내견의 본회의장 등 회의장 출입을 관행적으로 막아왔던 것으로 알려져 공공장소 출입을 허용한 장애인복지법을 지키지 않고 있음이 드러나서 놀랐습니다. 국회는 엄연히 공공장소가 아닙니까? 그들만의 성역입니까?

 

장애인복지법 제40조 3항은 누구든지 보조견 표지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을 동반한 장애인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공공장소, 숙박시설 및 식품접객업소 등 여러 사람이 다니거나 모이는 곳에 출입하려는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보조견의 공공장소 출입 거부 금지는 지난 1999년부터 법에 명시됐는데, 국회는 국회법상 '본회의 또는 위원회의 회의장에 회의 진행에 방해가 되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반입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을 근거로 안내견 출입을 불허했답니다. 안내견이 물건도 아니고 음식물도 아니며, 장애인에게는 몸의 일부입니다.

 

세종 임금이 장애를 가진 신하를 중용한 것도, 허조의 겉모습보다 그의 훌륭한 내면을 소중히 한 점도, 그를 위해 계단을 넓히게 한 것은 동정심을 넘어선 인권사상을 실천한 것이기에 더욱 아름다운 군주였음에 감동했습니다.

 

사람을 소중히 하는 것, 누구나 존중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민주주의 사상은 시대를 넘어 어느 나라에서나 지켜야 할 소중한 가치임을 보여준 이 책을 이 나라 국회의원들이 장애인의 날을 맞아 꼭 읽었으면 합니다.

 

누구나 장애인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누구라도 장애인이 될 수 있는 것 또한 현실입니다. 오히려 태어날 때부터 장애인인 경우보다 살면서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더 많음을 생각하면 가정에서부터, 어렸을 때부터 장애를 보는 시선을 바르게 갖고 생활 속에서 함께 어울려 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일 것입니다.

 

그들 스스로 만든 장애인복지법조차 지키지 않는 국회라면,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말은 공허한 거짓말이 분명합니다. 국회는 신성한 성역이 아닌, 공공장소임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다름을 틀림으로 알고, 정의는커녕 법조차 무시하는 국회의 모습은 다른 공공기관에도 영향을 미칠 게 분명합니다.

 

'장애인의 날'인 오늘을 기점으로 국민을 위한 입법기관인 국회는 장애인보조견 문제로 국민을 실망시키지 말기를 부탁합니다. 특히 국회의원은 국민의 아픔을 해소하는 사람임을 잊지 말기를!

 

오히려 장애인복지법을 강화하여 장애 때문에 평생 힘들게 살며 차별 속에 우는 그들의 눈물을 닦아줄 최소한의 법적 장치를 서둘러 주기를 부탁합니다. 특히, 국회부터, 국회의원부터 법보다 정의를 몸으로 보여주기를 당부드립니다.

장옥순 아이들의 가슴에 불을 질러라 외 다수 jos228@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