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워 교실] 사유를 높여주는 감사일기

2024.08.19 09:00:37

감사일기를 쓰면 뭐가 좋을까? 일반적으로 감사함을 찾다 보면 긍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어 행복지수가 올라간다고 말한다. 이 행복지수는 낙천에 의한 것일까? 낙관에 의한 것일까?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에 따르면 낙천은 세상을 즐겁고 이로운 것으로 여기는 것이고, 낙관은 어떤 사건이나 상황, 사물을 희망적으로 보는 것이다. 그래서 낙관주의는 희망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찾아낸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희망인지를 살피며 세상을 향해서 움직인다. 감사일기는 일상을 세밀하게 보고 그것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힘을 키워준다는 측면에서 낙관자의 삶이 되도록 돕는다고 할 수 있다. 

 

감사일기와 낙관주의

“예능 프로그램을 10시간 보아도 피로하지 않은 이유가 뭘까? ”

 

‘탁월한 사유의 시선’을 쓴 최진석 서강대 철학 명예교수의 질문이다. 이 질문을 받고 보니 정말 그렇다. 예능 프로그램이나 드라마를 볼 때는 머리도 아프지 않고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가 버린다. 이유는 생각하지 않고 보고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예능은 보는 사람이 생각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어낸다. 생각하려면 머리를 써야 하니 피곤해진다. 예술은 스스로 생각하면서 살펴야 해서 그것을 향유하는 자가 적다고 했다. 예능과 예술의 차이다.

 

그러나 예능이든 예술이든 창작자의 생각에 의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그래서 ‘스스로 생각하는 것’은 지식생산자의 영역이다. 생각을 돕는 것은 질문이다. 질문이 곧 생각이다. 질문에는 상상력이 동반된다. 생각, 질문, 상상력은 창의성의 시작이며 높은 사유의 힘이다.

 

생각과 질문의 힘을 가진 사람은 삶을 일직선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어떤 일의 결과가 단순히 하나의 원인에서 발생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친구가 기분 나쁜 말을 하고 화가 나서 싸웠다면 과연 싸움의 원인이 친구의 말 한마디였을까? 그건 단지 싸움을 일으키는 트리거가 됐을 뿐이다. 총을 잡고 있지 않았다면 방아쇠를 당길 일은 없다. 총알은 나가지 않는다. 그런데 총은 보지 않고 방아쇠와 나아가는 총알만 본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방아쇠를 당기기 이전에 총을 들게 된 이유를 알아야 한다.

 

교실에서도 학생들 간에 종종 이러한 일이 생겨난다. 터져버린 갈등의 결과가 단지 하나의 원인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여러 가지 얽혀서 하나의 결과가 만들어진다. 일이 일어난 순간의 현상만으로는 해결점을 찾을 수 없다. 높은 사유의 시선으로 내려다봐야 진짜 원인이 보인다.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해결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높은 사유의 힘은 다양한 측면을 살피며 사고하게 한다.

 

당연한 것은 없다는 인식

감사한 일을 작성하는 것이 감사일기다. 누군가에 도움을 받았을 때, 이익이 될 때 고마움을 느낀다. 이러한 일은 하루에 몇 번쯤 될까? 어떤 사람은 하루에 1번도 감사할 일이 없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100번도 넘는 감사함을 느낀다고 한다. 시선과 사유의 차이다. 감사함을 쓰려면 다각도의 시선이 필요하다.

 

감사함의 반대말은? 당연함이다. 우리는 반복적인 일상을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감사일기는 ‘당연한 것은 없다’를 인식하게 해준다. 우리의 일상은 매 순간 세상 만물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살고 있다. 감사일기를 쓰려면 어떤 도움이 받았는지 생각해야 한다. 더운 날 샤워를 하면 무엇이 고마운가? 시원하게 해주는 물에 대한 감사함이 일어난다. 다음은 물이 나올 수 있는 시설에 대한 감사, 그것을 설치한 분, 그것을 개발하고 일상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분 등으로 이어진다.

 

감사일기는 보이는 단순한 현상에 대한 감사만을 쓰는 것이 아니다. 부정적 상황의 문제만 보지 않기 때문에 해결해야 할 것과 배워야 할 것을 찾다 보면 감사하게 된다. 세상의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이면의 모습들도 세밀하게 관찰하며 희망을 찾아낸다. 이것이 감사일기의 시선이며 사유다. 그래서 낙관의 힘이다. 감사일기를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은 결국 시선의 높이, 사유의 힘에서 차이가 난다. 학급 운영에서 학생들과 다양한 시선과 사유의 힘을 키울 수 있는 감사일기를 적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

양경윤 경남 전안초 수석교사, ‘고마워교실’ 저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