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인간 존엄 교육’만이 갈 길이다

2025.02.21 09:15:18

소설가이자 시인이며 극작가인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Victor Hugo, 1802~1885)는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가로 『레 미제라블』 등 문학을 통해 사회적 부조리와 인간애를 강렬하게 표현했다. 그는 젊은 시절에는 정통왕조주의자였으나 이후 자유주의의 성향을 가졌다가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를 겪으며 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타국과의 전쟁이란 팔꿈치에 입은 찰과상에 불과하지만, 내전은 우리의 간을 먹어 치우는 궤양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민심이 둘로 쪼개져 큰 정치적 혼란을 겪는 지금 이 땅에 던지는 의미가 매우 크다.

 

위고는 소설 『93년』을 통해 개인이 감당할 수 없는 역사의 흐름에도 개인이 바꿀 수 있는 미래가 있다는 희망을 보여 주었다. 그 희망은 저마다의 ‘도덕적 투쟁’이었다.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숭고한 미덕으로 시대와 맞섰다. 중심인물 중의 하나인 고뱅은 “용서할 수 없다면 승리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전투 중에는 우리가 적들의 적이되, 승리를 거둔 후에는 그들의 형제가 됩시다”라고 말했다. 한 영혼의 어둠을 다른 영혼의 광명이 감싸며 비로소 한 시대가 온전히 구성되고 있는 요즘이다. 이런 교훈을 통해 배우는 지혜가 1874년에 출간된 이 소설을 아직도 우리가 읽는 이유이다.(신동호, 『대통령의 독서』중에서)

 

현재 우리가 겪는 시대의 아픔은 양분된 국민들의 민심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대통령 탄핵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치열하게 싸우는 모습은 차라리 내전이라 칭할 수밖에 없다. 그런 와중에 우리는 국민통합은 물 건너 간 것이 아닌지 극히 우려스럽다. 갈수록 통합이라는 말조차 막연하고 가까이하기엔 너무 멀게 느껴진다. 과거부터 변함없이 정치인들은 ‘국민통합’을 외치지만 진정으로 사회를 개선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정치적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인지 잘 구분되지 않는다. 왜냐면 통합 뒤에서 이념으로 편을 가르고, 지역주의를 조장하고, 경제적 격차를 더욱 심화하기 때문이다. 이는 아주 교묘한 정치력처럼 다가온다.

 

대한민국의 역대 지도자 중에 김대중 대통령은 동서 화합을 위해 노력했고, 용서를 실천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으로 격차를 줄이려 했고, 상식이 통하는 정치로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려 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기득권과 싸운 노무현 정신을 배우겠다”고 말하며 국민통합을 강조했다. 하지만 보라. 과거와 현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 어떤 나라에서 살고 있는가? 국민통합을 외쳤는데 왜 양극화는 깊어지고 갈등은 극대화 되었는가?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

 

통합은 정치적 노력만으로 가능하지 않다. 정치에서 통합은 흔히 전체주의로 빠지기 쉽다. 통합은 그 바탕에 개인의 ‘도덕적 투쟁’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우리 사회는 보수든 진보든, 20대든 70대든, 가난한 사람이든 부자든, 모두 나름의 생각을 갖고 살아간다. 하지만 보수에는 인간에 대한 끝없는 믿음과 전통에 대한 무한한 사랑이 있어야 한다. 반면에 진보에는 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있고, 역사에 대한 긍정이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통합에는 정직한 삶을 기반으로 서로를 존중하는 도덕적인 행동이 필수다. 이것이 ‘시대정신’이 되어야 한다.

 

이 시대의 진정한 보수주의자들은 옛 맹자 성인의 정신을 이어받아 도덕적 인간이 갖는 자존감과 모든 인간을 숭고한 삶으로 이끄는 신념, 그리고 이를 위한 혁신으로 재무장해야 한다. 현실적으로는 보다 좋은 삶에 대한 신념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그러려면 보수는 전통에서 비롯된 고귀함, 숙련됨, 고결함으로 다가서야 한다. 이는 이 시대의 보수주의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충언(忠言)이다.

 

반면에 이 시대의 진보주의자들은 과거 독재정권이 보여 줄 수 없던 다른 삶을 통해 민주주의와 진보적 삶에 정당성을 부여해야 한다. 자신들만이 잘할 수 있다는 오만, 권력부터 잡고 나서 잘할 것이라는 착각은 금물이다. 돌이켜보면 한국의 진보는 도덕적인 이들과 함께할 때 훨씬 적극적이었고 너그러웠다. 이는 이 시대 진보주의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고언(苦言)이다.

 

애국에는 진보도, 보수도 없다. 방법이 다를 뿐이다. 그 기저에는 서로를 존중하는 마음이 우선이다. 애국만으로 국민통합은 쉽지가 않다. 거기에는 적어도 공허한 정치적 주장이 아니라 개인의 헌신을 기반으로 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정치인들은 무엇보다 정직으로 도덕적 리더십을 회복해야 한다. 정치에는 신뢰가 절대적이고 신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데서 온다. 거짓말이 난무하는 정치인들에게 용서와 양심이란 도덕성 회복이 그 무엇보다 우선이다.

 

“역사는 나선형으로 발전한다.”는 말처럼 서로의 적대적인 투쟁 속에서 잠시 역사가 후퇴하는 것 같아도 그 이면에 인간 존엄의 마음이 변치 않는 한 역사는 더디더라도 앞으로 진보할 수 있다. 그래야 새로운 국면으로의 전환, 즉 국민통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는 ‘인간 존엄 교육’을 보다 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여기에는 거짓말 하는 정치인은 삼진아웃 시키는 것과 같은 ‘도덕 회복 운동’과 인간을 최고의 목적으로 대우하자는 칸트(Kant)의 정언명령과도 같은 인간 존중의 마음을 최우선으로 무장해야 할 것이다.

전재학 전 인천 산곡남중 교장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강주호 | 편집인 : 김동석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