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운위' 적극적 의사소통 필요하다

2009.02.26 14:52:31

형식적 운영 탈피·정보 공개 활발해야
“참여율 확대위해 전자투표 등 도입을”

학교운영위원회(이하․학운위)가 학교와 학부모의 무관심으로 운영위원 구성에서부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매년 3월이면 학교는 학운위를 구성해야 하는 시기다. 각 시․도마다 1~2년씩 운영위원의 임기는 다르다. 2년이 임기인 지역도 학생의 전학이나 졸업, 교사의 전보 등으로 운영위원 수가 부족해지면 보궐선거를 실시한다. 국공립학교는 이전 위원들의 임기만료일(3월 31일) 10일 전까지 선거를 통해 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의 구성을 완료해야 한다. 보통 3월 첫째 주부터 선출관리위원회가 구성되고 둘째 주부터는 선출공고가 나가고 홍보가 시작된다.

학운위는 보통 5~15명으로 운영되며 학부모(40~50%)와 교원(30~40%), 지역위원(10~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학부모 위원은 학부모 전체회의나 학급별 대표로 구성된 학부모 대표회의에서 투표로 선출해야 한다. 지난 1995년 김영삼 정부의 5․31교육개혁으로 시작된 학운위. 14년이 돼 가고 있지만 학교나 교사들은 여전히 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구성․운영하는 형식적 기구로 여겨지는 경향이 높다.

학교에서는 학운위 구성을 위해 최소 인원을 채우는 것조차 쉽지 않아 곤혹스럽다. 필요 인원만 겨우 맞추다보니 선거를 거친다는 자체가 불필요해지는 것이 대다수 학교의 상황이다.

인천 석남서초 신쉬호 교장은 “지난해 학부모 위원 필요인원 수로 정해진 6명만 후보자로 등록해 투표없이 정해졌다”며 “이마저도 전교 어린이회장이나 부회장 학부모 등 학교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에게 권고하곤 한다”고 말했다.

서울 신월초 황규성 교감은 “일단은 학부모총회를 통해서 공고를 많이 하지만 관심이 적어 개별 접촉을 통해 후보자를 등록하고 무투표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러나 학부모들의 입장은 다르다. 학교에서 학운위에 대해 부담스럽고 귀찮은 기구로 여기며 학부모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주지 않아 참여의 벽이 높다고 한다. 심지어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가 내정하지 않은 후보가 참여 의사를 밝히면 사퇴를 종용하는 경우까지 있다는 것이다.

좋은학교 바른교육 학부모회 김선이 사무총장은 “학교에서 정해진 틀에 맞춰 형식적으로 운영돼 학운위에서 학부모가 참여하는 데에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학교의 입맛에 맞는 학부모들을 사전에 정해둔 상태에서 선출하는 경우가 많아 학부모들도 선뜻 나서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학교 자체에서 학운위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정보를 제대로 알린다면 학부모의 참여가 늘어날 것이라는 얘기다.

서울시 교육청 전택수 장학관은 “무투표 당선으로 학부모위원을 구성하다보니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높다”며 “앞으로는 전자투표방식 등 학부모 참여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문영 ymy@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