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학위를 가진 고학력 교사와 수석교사들은 진단평가와 학업성취도 평가가 학생들의 학력파악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 오성삼 교수(교육공학과, 교육평가 전공)는 3월 27일~4월 1일 전국 초중고 박사교사 및 수석교사 1369명을 대상(응답자 319명, 회수율 23.3%)으로 ‘기초학력 진단 평가 및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결과 시도교육청이 주관해 초․중학교만 치르는 진단평가에 대해 초등, 중학 교사들 63.3%는 ‘진단평가가 필요하다’고 답해 ‘필요 없다’(36.1%)의 두 배에 달했다. 학교급 별로는 초등 교사는 74.5%가, 중학 교사는 50.0%가 필요성을 인정했다.
진단평가의 유용성에 대해서도 교사들은 ‘도움이 됐다’가 86.7%로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13.3%)를 크게 앞섰다. 특히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다’의 응답이 초등 교사는 8.9%인데 반해, 중학 교사의 경우 26.3%로 초등 교사보다 3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초학력미달학생의 학교차원의 사후조치와 관련해서는 45.2%가 ‘교과담임이나 학급담임의 재량’에 맡기고 있어 기초미달 학생에 대한 사후 보정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가가 직접 초, 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치르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서도 교사들은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다만 진단평가에 비해 찬성 비율은 낮았다.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필요성에 대한 설문에 응답자의 55.2%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필요 없다 또는 폐지해야 한다’는 43.9%로 조사됐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설문에서 교사들은 ‘교육적’(56.7%)이라는 의견이 ‘비교육적’(37.3%)이라는 답보다 높게 나왔으며, 전수평가방식에 대해서도 찬성이 52.1%로 과반을 차지했다.
한편 현장 교사들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학교장, 교감’의 인사와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불합리하다’거나 ‘철회돼야 한다’는 견해가 77.7%로 ‘연계해야 한다’는 의견(19.7%)보다 월등히 높게 나왔다. 학교 급별로는 초등 교사가 87.8%, 중학 교사가 80.3%, 고등 교사 70.4%로 학교 급이 낮을수록 인사연계에 거부반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설문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범위는 ±4.3%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오 교수는 “정책당국이 진단평가와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의도한 기본 취지가 제대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가치중립적 입장에서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조사를 했다”며 “시행초기인 만큼 정부의 바람대로 적극적인 반응이 나오지 않고 있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긍정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