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석교사제 법제화를 추진하겠다고 대통령께 보고한 교과부의 행보가 빨라졌다. 18일 교과부 이주호 제1차관은 수석교사 시범학교인 서울마포초에서 간담회를 열고 시범운영의 개선점과 향후 법·제도화 방향을 논의했다.
이 학교 황효순(미술) 수석교사와 신임교사들, 학교장, 학부모회장은 물론 청와대 진동섭 교육과학문화수석, 전국수석교사협의회 회장단, 서울시교육청 부감, 교과부 실무자까지 참석한 가운데 이 차관은 사회를 자청하며 진지한 토론을 이끌었다.
한 시간 넘게 진행된 일문일답에서는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효과, 관리직과의 역할 관계, 수업시수·연구활동비 등 처우 상의 문제점, 교수직트랙 분리 여부, 법제화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나눴다.
3년차 배지영 교사는 “수업뿐만 아니라 담당업무, 생활지도 그리고 교사로서 학교적응에까지 노하우와 대처방법을 멘토링해 주셔서 큰 도움을 받고 있다”며 “제겐 먼 얘기지만 이런 전문적 교사상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최수룡 회장은 “이 같은 수업 코칭, 연수 주도, 연구활동 및 자료제작 등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려면 수업을 줄여줘야 하지만 학교 여건상 담임에 보직교사 역할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며 실질적인 수업·업무 경감방안을 당부했다. 이에 김병환 교장은 “수석교사를 별도 정원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며 “과목이 세분화된 중등의 경우, 지역 단위로 수석교사를 두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성순 마포초 학부모회장은 “수석교사가 이렇게 많은 역할을 하는 지, 이렇게 좋은 취지의 제도가 학교에 정착되지 않았다는 사실로 몰랐다”며 “재정의 어려움은 있겠지만 과목마다 수석교사를 둬 교사들의 수업을 지원하고 충분히 예우한다면 사교육비 경감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 차관은 “연구활동 관련 예산을 더 확보하겠다” “대체인력 확보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제도화 의지를 내비쳤다.
또 차관으로서 법제화를 직접 챙기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차관은 “수석교사는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제고하고 전문성에 따라 교단교사를 우대하는 차원의 좋은 제도”라며 “이제는 법제화를 적극 검토해 현장의 욕구를 수용하겠다”고 강조했다.
진동섭 교육과학문화수석도 “이제까지 없던 새로운 역할을 하느라 수석교사들이 죽을 노력과 선구자로서 활동해 온 데 경의를 표한다”면서 “자꾸 안 하려는 구실만 찾지 말고 실현 방안을 찾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며 ‘결단’을 촉구했다.
그간 제도화에 유보적이던 수석교사제가 교과부, 청와대의 관심 대상이 되면서 국회 차원의 연내 법제화 논의와 교원자격체계 개편 문제가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한편 교과부는 3년차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을 위해 올해 전국에서 333명(초등 170명, 중등163명)의 수석교사를 선발, 3월부터 일선학교에 배치한다. 2008년 171명, 2009년 295명에 비해 확대된 규모다.
시도교육청별 수석교사 선발위원회에서 1차 서류심사, 2차 수업능력 심사 및 심층면접, 3차 동료교원 면담을 통해 선발된 수석교사들은 교내·외에서 신임·동료교사에 대한 수업코칭 및 컨설팅, 교과연구 및 연수 주도, 교육자료 개발보급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들은 2월 1일부터 12일까지 한국교원대에서 60시간의 사전 직무연수를 받는다.
수석교사제는 현행 관리직 위주의 자격체계와는 별도로 교수직 트랙을 둬 교사들의 전문성을 제고를 유도하고, 상응하는 역할과 처우를 보장함으로써 학교교육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2008년 시범 도입된 제도로 현재 영국, 싱가포르는 물론 중국, 북한 등에서도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