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부터 2년간 매년 15명 내외의 수업연구 교사, 동료장학 교사와 백양수업컨설팅연구회를 조직했어요. 수업을 연구하고 공개하는 교사들의 부담을 덜고 수업개선을 돕기 위해 과정안 작성이나 학습자료 준비, 수업공개 노하우 등을 컨설팅하고 교사들끼리도 수업을 참관하며 함께 고민하자는 취지지요.”
3년째 수석교사로 활동 중인 경기 백양고 김정숙(화학) 교사는 수석교사의 주요 활동 중 교과연구회를 만들어 운영한 케이스다. 좋은 수업은 수업연구에서 나오고, 교사들의 협력이 학교의 연구풍토를 만든다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수업에, 잡무에, 5시 30분까지 보충수업에 9시까지 야간 자율학습 지도에 시달리는 인문계고 특성상 수업컨설팅 시간을 빼기도 녹록치 않은 상황. 이 때문에 김 수석은 연구회 운영계획, 결과 보고, 지원비 정산 등 모든 행정업무를 도맡으며 교사들은 수업연구만 하도록 했다.
김 수석의 역할은 5, 6월과 특히 9, 10, 11월에 몰린 연구교사들의 수업공개 일정에 맞춰 한 달 전 해당교사에게 쿨 메신저를 보내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수업연구 주제를 공유하고 수업준비 및 공개 일정을 협의하기 위해서다. 이어 교수·학습과정안 작성과 학습자료 준비과정에서 고민을 들어주고 스스로 길을 찾도록 돕는 게 활동의 포인트다.
참고할 만한 교수·학습과정안 모델을 제시하고, 30년을 학생들과 부대끼며 터득한 상호작용의 노하우를 조언하는 식이다. “수업연구 교사를 기다렸다는 듯이 평가하는 컨설팅방식, 그리고 화려한 자료와 학생들의 기계적 발표로 이뤄진 보여 주기식 수업방식은 지양하려 했다”는 게 김 수석의 원칙이다.
교수·학습과정안이 확정되면 연구회 홈페이지에 올려 다른 교사들과 함께 보고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게 했다.
수업연구에 필요한 각종 참고서적들과 수업자료는 도교육청 지원비로 충당했다. 김 수석이 연구회 계획서를 제출해 교육청 지정 교과교육연구회에 선정돼서다. 일본의 문화를 주제로 한 일본어 수업연구를 위해 일본 화폐와 인형을 준비하고, 역할극과 퀴즈 시간까지 마련한 영어 수업연구 때는 가발과 상품을 준비할 수 있었다.
이렇게 준비가 끝난 교사들은 수업연구 리허설을 통해 최종 점검시간도 가졌다. 이를 통해 김 수석은 판서나 목소리 크기 등 사소한 부분도 체크했다. 김선겸(컴퓨터) 교사는 “사전 공개를 통해 떨리는 것도 예방하고 부족한 부분을 다시 보완할 수도 있었다”고 말했다.
동료교사들이 모두 참관하는 수업연구는 동영상으로 촬영해 연구회 홈페이지에 올리고 각자 교사에게 수업동영상을 시디로 제공했다. 김 수석은 “가장 훌륭한 컨설턴트는 바로 자기 자신이고, 그런 만큼 누구보다도 직접 자기수업을 보며 수업개선에 활용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김용일(윤리) 교사는 “수업 잘하는 교사가 최고의 교사라는 말씀, 그리고 연구회 활동을 통해 가르쳐 주신 내용 잊지 않고 앞으로 더 좋은 수업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수석은 앞으로 수석교사제가 법제화 된다면 지역단위 수업컨설팅연구회를 활성화시켜 볼 계획이다. 그는 “교과별로 전문화된 중등의 특성을 감안할 때, 동일 계열 교과의 인근 학교 교사들로 연구회를 구성해 함께 수업연구를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이런 지역단위, 학교단위 교과연구에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행재정적 지원을 하는 게 학교 수업력을 높이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