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없는 학부모 만족도조사

2010.07.13 17:23:16

“담임도 잘 몰라…” 자녀 앉혀놓고 평가해
교사들 “점수화 말고 서술식 의견 들어야”

“만족도조사 하라고 하도 문자가 와서 하긴 했는데 이번에 담임 얼굴을 처음 알았어요.”(서울 S중 학부모) “아파트 아줌마들 얘기 들어보니까 다 애들 앉혀놓고 했더라고요. 뭘 알아야죠….”(서울 D여중 학부모)

학부모 만족도조사에 ‘학부모’는 없었다. 이미 예견됐듯 자녀 만족도조사로 변질되면서 개선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높다.

전국의 초중고는 지난 6월말부터 7월 중순까지 담임, 교장(감), 교과 및 보건·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부모 만족도조사를 실시했다.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학교 참여를 높이고,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교원들의 능력개발을 촉진하자는 취지에서다. 응답 결과에 따라 특정 교사에게 인센티브 또는 벌 개념의 의무연수가 부과될 수 있는 막중한 행위다.

하지만 심지어 담임조차 모르고, 또 교과교사들의 수업을 단 한 시간도 본적 없는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자녀를 앉혀놓고 물어가며 만족도조사를 해야했다. 서울 H고의 한 학부모는 “애가 우수라고 하면 보통으로, 보통이라 하면 미흡으로 한 단계씩 낮게 평가하는 식으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 S여중의 학부모는 “지난번 수업공개 때 본 수학선생님은 직접 하고, 나머지 9명은 아이가 불러주는 대로 했다”고 답변했다. 서울 H여중의 한 학부모는 “공개수업을 본 영어교사만 평가하는데도 사실 쉽게 가르치는 건지, 수업결과를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하는지를 묻는 문항에는 답할 수가 없어 아이에게 물었다”고 설명했다.
 
교과부가 12일 마련한 ‘교원평가 학부모 간담회’에서도 학부모들은 “교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객관적 평가가 힘들다” “결과적으로 학생이 평가하게 된다”고 토로했다.

학부모들은 “아이들 의견과 소문을 종합했으니 솔직히 객관적이지는 않다”고 인정하면서도 “하지만 교원들을 긴장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절반의 학부모는 그나마 조사에 참여도 하지 않았다. 많은 학교가 응답률 50%를 가까이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H여고의 한 학부모는 “애가 기말고사라 물어보며 할 수가 없어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5학년 자녀를 둔 서울 S초의 한 학부모는 “잘 알지도 못하는데 응답하는 건 왜곡이라고 생각했다”며 “보통 학부모로서는 이걸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학교는 이런 ‘긴장용’ 만족도조사를 받느라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경남 Y중은 학부모들의 문의 전화에 시달려야 했다. 이 학교의 한 교사는 “모르는데 어떻게 답변해야 하느냐는 전화가 빗발쳐 담임과 평가담당자가 일을 못할 지경이었다”며 “교육청도 전화에 시달렸는지 나중에야 교과담당은 선택으로 하라는 공문이 내려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필수로 다 끝낸 교과교사 응답률도 40% 대에 그쳤다.

학부모들의 무관심 속에 학교는 참여율 50%를 넘기기 위해 골머리를 앓기도 했다. 서울 M초의 평가 담당교사는 “50%가 안 넘으면 오프라인으로도 하라는 교육청의 지시 때문에 기를 쓰고 전화하고, 문자보내고, 밤 8시까지 학교 컴퓨터실도 학부모위원들을 요일별로 배정해 개방했다”며 “우리는 조사기간을 하루 연장해 넘겼지만 인근 학교는 일주일을 연장해야 했다”고 말했다.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강원 S초는 만족도조사지를 아이들 손에 들려 보내고 다시 밀봉해 가져오게 하는 방법을 썼다. 그 결과 회수율은 80%를 넘겼지만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은 탓에 상당수 학부모들은 그냥 조사지를 보내왔다. 경남의 한 공고도 조사지 배부, 회수 방식을 택해 50%를 넘겼다. 하지만 이 학교 K교사는 “올봄 100명의 교사가 일주일간 수업공개를 했지만 참관 학부모는 통틀어 5명뿐일 만큼 관심이 없다”며 “학생들 얘기가 같이 했다고 말하더라”며 개탄했다.

중학교의 한 교과 교사는 “학생은 360여명이 참여한 만족도조사에 학부모는 단 2명만 응답했다”며 “수업을 4번이나 공개해도 이렇게 관심이 없는데 학부모단체는 무슨 근거로 학부모가 교원평가를 해야한다고 주장하는지, 또 한나라당 일부 국회의원은 인사, 보수에 연계해야 한다고 말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황당해했다.

이 때문에 교사들은 만족도조사 개선을 주문하고 있다. 서울 N초 수석교사는 “객관성, 공정성이 없어 이를 점수화하는 것에 대해 인정하는 교사가 없다”며 “지금과 같은 방식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교총은 “학교의 행사나 교육과정 운영, 방과후학교 등 경영 전반에 대한 만족도조사 형태로 실시해야 한다”며 “이 부분을 교과부에 강력히 촉구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조성철 chosc@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