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 부적절한 언어 사용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큰 가운데 학생과 교사를 위한 ‘학교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표준 예시자료’가 처음 개발돼 전국 학교에 무료로 배포된다. ‘학생 언어문화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교총은 교육과학기술부, 충북도교육청과 공동으로 7일 ‘바람직한 학생 언어, 사랑의 교사 언어’를 발간했다. 이 자료는 ‘학생언어문화 개선 홈페이지(kfta.korea.com)’ 교육자료 란에서 누구나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다. 학생, 교사의 평소 언어사용 문제점에 대한 상황별 예시를 만화로 담은 예시자료에 내용을 ‘교사 언어 편’과 ‘학생 언어 편’으로 2회에 나눠 소개한다.
(上) 사랑의 교사 언어
학교언어문화개선 연구팀 연구책임자 김정우 이화여대 교수는 “교사들은 인내와 사랑으로 학생들은 대하지만, 본인의 의도와 달리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말들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면서 “교사가 미처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 언어에 대한 성찰의 기회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교사 언어 편에서는 교원들이 학교에서 겪는 하루 일과를 중심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등교 시간 ‘상황을 넘겨짚어 말하지 않기’=교문에 들어서며 인사하는 학생 희아를 보고 교사는 “보나 마나 어제 게임하느라 늦게 잤구만!”하고 말한다. 아니라고 항변하는 희아에게 “안 봐도 눈에 훤하다”며 한마디를 더 덧붙인다. 교사는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의 행동을 판단하지만 때로는 지레 짐작으로 학생의 상황을 잘못 판단해 상처를 주는 경우가 있다. 상황을 넘겨짚어 말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 수업 시간 ‘미안한 마음 표현해 보기’=수업시작종이 울렸는데 선생님이 오지 않자 잠시 화장실에 간 길현이는 혼쭐이 났다. “어차피 선생님도 늦었잖아요.”하는 길현이의 말에 교사는 “선생님은 일 때문에 늦은 거지. 어디서 말대꾸야?”하고 화를 내고 말았다. 교사는 학생 앞에서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권위를 손상시킨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교사가 명백히 실수나 잘못을 했고, 그것이 학생들에게 손해나 불편을 가져다줬다면 과감하게 미안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좋다. “요 녀석. 그래 선생님도 늦었다. 너무 일이 바쁘다 보니 시작 시간을 놓쳤네. 어쨌든 늦어서 미안하구나.”라고 표현해 보자.
# 쉬는 시간 ‘너’에게 초점 맞춰 비난하지 않기=정훈이와 친구들은 쉬는 시간에 복도를 뛰어다니다가 꾸중을 들었다. 교사는 “넌 제대로 하는 게 뭐니?”, “또 너냐? 너는 더 혼나야해!”라고 훈계했다. 이 경우 ‘너’를 주어로 하는 말은 상대방을 비난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 이런 교사의 말은 학생을 무능력한 사람으로 단정 짓고, 비슷한 내용을 반복해서 들으면 학생의 자아 존중감 형성을 방해하기에 이른다. ‘너’의 문제를 ‘나’의 관점으로 바꿔 말하는 ‘나-전달법’을 활용해보자. “얘들아 복도에서 이렇게 뛰어다니면 위험해. 선생님은 너희들이 뛰어다니는 것만 보면 넘어질까 봐 가슴이 조마조마해. 복도에서는 다칠 수 있으니까 조심히 다녔으면 좋겠다”라고 말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