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다섯 가지 교육방법

2013.11.28 15:13:50

요즘 수능 시험을 마친 학생들이 진로 문제를 놓고 여러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다. 다시금 우리 교육 현실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중국 고대 유가의 경전인 <예기> 학기편에 보면 그 당시 교육 현실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교육은 부질없이 책을 되풀이해서 읽히기만 하고 쓸데없는 질문들을 늘어놓고 말만 많이 하도록 하고 있다. 서둘러 나아가기만 할 뿐 실질적으로 알차게 잘 됐는지 살펴보지는 않는다.’

‘교육자는 제자로 하여금 성실하게 마음에서 우러나는 행동을 하도록 이끌지 못하고 또한 그들의 재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가르치지도 못한다. 생도들이 학문을 배우지만 잘 깨우치지 못하고 배운 바를 세상에 내놓지 못하니 자기를 가르친 선생만 미워하며 원망하게 된다.’

‘사람들은 학문을 닦는 어려움들을 꺼려하며 진정한 학문의 이익을 알지 못한다. 교육이 피상적으로 행해지며 뚜렷한 결과도 없이 번거로움만 주니, 사람들은 학업을 마치기가 무섭게 그것을 버리고 만다.’


이렇듯 과거의 어지럽던 교육 현실에서 맹자 선생의 교육론은 신선한 생수와도 같았다. 맹자 선생이 제자 공손추에게 말씀하신 다섯 가지 교육 방법은 어쩌면 지금 우리 교육 현실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첫째, 교육은 억지로 해서는 안 되고 시우(時雨), 즉 제때에 내리는 비가 초목을 자라게 하듯이 해야 한다. 때에 맞게 자연스럽게 가르쳐야 한다는 뜻이다.

둘째, 교육은 어디까지나 성덕(成德), 즉 덕을 이루게 해줘야 한다. 덕을 이룬다는 목표를 상실할 때 교육은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된다.

셋째, 교육은 달재(達才), 즉 각자의 재능을 최대한 발달시켜 줘야 한다. 교육을 뜻하는 영어, 에듀케이션(education)은 라틴어 에듀스(educe)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에듀스는 ‘이끌어낸다’는 뜻이다. 제자에게 주입식으로 가르치기보다 그들의 잠재 능력을 적절히 이끌어내는 것이 진정한 교육이다.

넷째, 교육은 답문(答問), 즉 물음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는 것이다. 제자의 물음에 답하려다 보면 스승 자신도 스스로 많은 것을 깨우치게 된다. 그야말로 교학상장(敎學相長)인 셈이다.

다섯째, 교육은 사숙(私淑), 즉 혼자서 덕을 잘 닦아 나가도록 해줘야 한다. 처음에는 스승에게서 배우나 마침내 스스로 자립해 학문을 닦아 나가야 하는 법이다.

공손추는 맹자 선생의 다섯 가지 교육방법에 대해 듣고 나서 소감을 피력했다.

‘선생님의 교육 방법은 하도 높고 아름다워 마치 하늘에 올라가는 것과 같아, 거기에 도달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듯 싶습니다. 수준을 좀 낮출 수는 없습니까?’

그러자 맹자 선생은 이렇게 대답했다.

‘뛰어난 목수는 졸렬한 목수가 먹줄 쓰는 법을 잘 모른다 해 그를 위해 먹줄 쓰는 승묵법(繩墨法)을 고치거나 폐하지는 않는다.’

교육의 목표와 방법은 현실에 좌우되지 않고 백년대계를 내다보는 가운데 고귀한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말이다. 어느 시대라도 교육이 반드시 옳고 바른 방향으로 갔던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교육본질을 추구하고 원칙을 지켜가는 교육자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맹자의 교육철학은 교육 정책이 오락가락하는 이 시대에 깊이 새겨들어야 할 말씀이 아닐 수 없다.
조성기 소설가·숭실대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