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사이 초등학생들의 학습 시간만 늘었다. 게임 및 놀이 시간 역시 초등학생만 유일하게 줄었다. 반면 중·고·대학생이상은 학습 시간이 소폭 감소하고 게임 및 놀이시간이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생활시간 조사 결과’에 따른 내용이다. 다만 이 조사에서 초등 저학년은 제외됐다.
2024년 생활시간조사는 전국 표본가구 1만2750개 내 상주하는 10세 이상 가구원 약 2만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됐다. 이는 5년 주기 조사로 1999년 최초 조사 이후 이번이 제6회다. 이번 조사는 국민의 연간 365일의 시간활용에 대한 사계절의 특성을 고루 반영하기 위해 2024년 ‘봄(3월)’을 추가한 것도 특징이다.
조사 결과 학생들의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은 고교생 6시간37분, 중학생 5시간45분, 초등생 5시간5분, 대학생이상 3시간11분 순으로 나타났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초등생만 유일하게 학습 시간이 19분 증가했다. 중학생은 12분, 고교생은 7분, 대학생 이상은 18분 각각 줄었다.
여가시간 중 게임 및 놀이 시간에서도 초등생만 유일하게 감소(4분)했다. 중·고등·대학생이상은 모두 증가했다.
수면시간은 모든 학교급에서 줄었다. 감소 분량은 초교생이 5분, 중학생이 1분, 고교생이 6분, 대학생이상이 5분이다. 초등생은 9시20분으로 가장 오래 잤고, 고교생이 8시간1분으로 가장 짧게 잤다.
평일 학교 안에서 보내는 학습 시간은 고교생이 4시간48분으로 가장 많고 중학생은 4시간20분, 초교생은 3시간58분 순이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초등생만 5분 증가했는데 이는 늘봄학교 등 돌봄의 확대로 분석된다.
사교육과 자율학습을 포함한 평일 ‘학교활동 외 학습’을 하는 초교생은 94.8%로 가장 높았다. 중학생은 87.3%, 고교생은 78.0%로 나타났다. 시간은 대학생이상을 제외한 모든 학교급에서 증가했다. 초교생은 22분, 중학생은 4분, 고교생은 26분 늘었다.
평균 취침시간 대에 학습하는 비율은 고교생이 13.7%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 10.6%, 초등생은 7.1%였다.
초·중·고생의 계절별 학습시간의 경우 초등생은 봄에, 중학생과 고교생은 가을에 학습시간이 가장 많았다. 학교활동 외 학습시간이 가장 많았던 계절은 초등생이 봄, 중학생이 가을, 고교생이 여름으로 드러났다.
전체 학생의 61.4%는 ‘평소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고, 시간이 부족할 경우 줄이고 싶은 활동으로 가장 많이 지목한 시간은 ‘자기 학습’(57%)이었다. 73.2%는 하루 일과를 마친 뒤 피로를 느낀다고 답했는데, 주된 이유는 ‘자기 학습’(71.4%)으로 여기고 있다.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55.7%, 여가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50.8%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