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려 쓸 우리말>⑨‘에스컬레이터’는 ‘자동계단’으로, ‘스크린도어’는 ‘안전문’으로

2014.12.24 17:06:56

지하철을 타러 내려 갈 때 계단이 길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간다. 다리가 불편하거나 나이 드신 분들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동 거리가 먼 경우에는 무빙워크가 설치된 역도 있다. 행인을 수인 구경하기도 하고 핸드폰으로 웹진 형식의 뉴스레터를 열어 보기도 하다가 전동차가 도착하면 스크린도어가 열린다고 안내 방송이 나온다. 전철을 타서는 환승역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를 쓴다.

여기에 쓰인 밑줄 친 말들을 쉬운 말로 바꿀 수는 없을까?

‘에스컬레이터’는 사람이나 화물이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의 장치이므로 ‘자동계단’으로 쓰면 된다. ‘엘리베이터’는 동력을 사용해 사람이나 화물을 아래위로 나르는 장치이므로 ‘승강기’로 쓰면 된다. 영어 ‘elevator’는 위로 올라간다는 일방향의 뜻인데 우리말의 승강기(昇降機)는 오르기도 하고 내려오기도 하는 쌍방향의 뜻을 갖고 있어 대조적이다.

‘무빙워크’는 평지나 약간 비탈진 곳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사람이 이동할 수 있게끔 자동으로 움직이는 길 모양의 기계 장치이므로 ‘자동길’로 바꿔 쓰면 된다. ‘행인’은 길을 가는 사람이라는 뜻이므로 ‘길 가는 사람’이나 ‘지나는 사람’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수인’은 다른 뜻으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으로 바꿔 쓰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핸드폰’은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말이라고 한다. ‘휴대전화’나 ‘손전화’라는 말이 훨씬 우리말답다. ‘웹진’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과 ‘잡지(magazine)’의 합성어로 ‘종이책으로 출판하지 않고 인터넷상으로만 발간하는 잡지’를 뜻하므로 ‘’누리잡지‘라고 하면 될 것이다. ‘뉴스레터’는 ‘소식지’라는 말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

‘스크린도어’는 기차나 지하철을 타는 사람이 찻길에 떨어지거나, 열차와 타는 곳 사이에 발이 끼는 사고를 막기 위해 설치한 문이므로 ‘안전문’으로 바꿔 쓰면 된다. 다행히 서울 지하철 5~8호선에서는 2013년 한글날부터 스크린도어를 ‘안전문’으로 바꿔 쓰고 있다. ‘환승역’은 ‘갈아타는 역’이라고 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

이제 위 상황은 다음과 같은 말로 바꿔 써야겠다.

지하철을 타러 내려 갈 때 계단이 길면 자동계단(←에스컬레이터)을 타고 간다. 다리가 불편하거나 나이 드신 분들은 승강기(←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동 거리가 꽤 먼 경우에는 자동길(←무빙워크)이 설치된 역도 있다. {길 가는 사람 / 지나는 사람}(←행인)을 여러 사람(←수인) 구경하기도 하고 {휴대전화/손전화}(←핸드폰)로 누리잡지(←웹진) 형식의 소식지(←뉴스레터)를 열어 보기도 하다가 전동차가 도착하면 안전문(←스크린도어)이 열린다고 안내 방송이 나온다. 전철을 타서는 갈아타는 역(←환승역)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를 쓴다.

우리는 이렇게 하루를 시작하면서부터 수없이 많은 외국어, 외래어, 낯설고 어려운 말 속에서 살고 있다. 깨끗하고 쉬운 우리말 속에서 우리가 우리의 생각을 온전하고 자유롭게 펼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물론 각자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김형배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문학박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