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로 교육읽기> 부도위악(不圖爲樂)

2015.07.30 15:08:16

얼마 전 방학을 앞두고 1·2학년 교내 학교폭력예방 합창대회가 있었다. 모두 자기 학급이 우승하리라는 기대감으로 열심히 구슬땀을 흘리며 하나 되는 모습은 참으로 아름다웠다. 우승을 위해 학급 학생들과 함께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고, 심지어 피켓을 들고 학교폭력을 감시하는 경찰관이 되신 선생님을 보면서 우리 학교에서 학교폭력은 멀리 추방되는 듯 했다.

대회가 끝나고 학년과 남녀를 구분해 각각 시상했다. 우승반이 발표되자 좋아하는 4개 반과 아쉬워하는 13개 반의 모습이 확연히 달랐다. 다음날 수업을 하려는데, 스스럼없이 심사를 맡았던 선생님을 원망하고, 실수한 급우를 은근히 비방하는 말까지 들려왔다. 전날 합창대회가 본래의 교육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됐는지 새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춘추시대 공자는 제나라에서 순임금의 소(韶) 음악을 배울 적에 3개월 동안 고기 맛을 잊어버릴((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정도로 매우 열중했다. 그리고 “순임금의 음악이 이 같이 진선진미(盡善盡美)한 경지에 이를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曰不圖爲樂之至於斯也)”라 했다. 옛적 성왕(聖王)들은 이처럼 ‘공성작악(功成作樂)’해 자신의 음악으로 세상을 교화했는데, 이 글에서 우리는 공자의 소(韶) 음악을 배우며 느끼는 희열과 경탄, 그리고 음악을 통한 정신문화의 추구와 새로운 작곡 가능성에 대한 강렬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어떤 음악가는 합창에서는 단순히 듣기 좋은 화음을 낼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며, 각각의 성부들이 동시에 균형 있게 울려 퍼져야 하고, 이를 위해 내가 노래하는 성부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성부의 소리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다. 즉, 나를 인식하고 더 나아가서는 타인까지도 인식하며 서로 맞춰가면서 사회성과 소통을 배운다고 했다.

그런데 학교폭력 추방을 목적으로 하는 합창대회에서 교육적 본질 보다 등위에 집착하려는 현실과 음악적 ‘표현력, 기술력, 조화성, 준비 자세, 독창성’ 등을 종합해 순위를 매기는 형식적 운영을 보면서 과연 공자가 말했던 ‘부도위악(不圖爲樂)’ 즉 ‘음악의 만들어짐이 이 같은 경지에 이른 줄은 생각하지도 못했다’라는 탄성이 나올 수 있을까 의심스러웠다. 앞으로 등위보다는 참가한 모든 반에게 각각의 개성과 장점을 살려 상을 주는 운영의 묘를 살린다면 이 보다 좀 더 음악 교육의 본질에 가까운 대회로 발전하지 않을까?
송영일 대전가오고 수석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