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세대에 희망을, 부모세대엔 위로 전해

2015.10.29 18:24:54

소설 펴낸 강성률 광주교대 교수



‘땅콩집 이야기 7080’ 출간 기념
소년소녀가장 돕기 행사 마련…
15년간 쓴 자서전을 바탕으로
7080세대의 인생 굴곡 담아내


30일 오후 2시 광주 광산구의 한 교회 1층 카페. 평일 오후인데도 사람들로 북적였다. 줄 지어 서 있는 사람들 사이로 한 남자가 보였다. 책을 펼쳐 글씨를 쓰고 나서 줄 선 이들에게 건넸다. 강성률 광주교대 윤리교육과 교수였다.

그는 최근 장편 소설 ‘땅콩집 이야기 7080’ 펴냈다. 출간을 기념해 의미 있는 일을 해보면 어떨까, 고민하다 ‘소년소녀가장 돕기 작가 사인회’를 열었다. 행사에서 나온 인세 수익금 전액은 지역 소년소녀가장을 돕는 데 쓰인다. 강 교수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사회의 미래이자 희망은 아이들”이라고 말했다.

“19년 전, 철학 저서 ‘2500년간의 고독과 자유’가 베스트셀러에 오른 기념으로 출판기념회를 연 적 있습니다. 이후 10여 권의 책을 펴냈지만, 이번이 두 번째 자리예요.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자, 어린 딸을 잃은 아버지다보니 특히 아이들에게 관심이 많아요. 출판기념회도 열고 형편이 어려운 청소년도 도우면 좋겠다, 싶었죠.”

철학을 전공해 교수가 됐지만, 어렸을 적엔 세계적인 작가를 꿈꿨다. 그러다 ‘문학은 허구’라는 고등학교 국어 선생님의 말씀에 철학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허구를 거짓이나 위선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철학은 좀 더 진실한 학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살면서 느끼는 좌절과 분노, 기쁨과 슬픔 등은 철학으로 설명되지 않았다”면서 “두 여동생과 딸의 죽음, IMF로 인한 경제적 위기 등 실존의 아픔을 겪으면서 살아온 과정을 글로 기록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1998년부터 15년간 기록한 자서전은 A4 용지 2200여 장에 이르렀다. 이를 다듬어 장편 소설 세 권 분량으로 정리했다. 지난해 출간된 ‘땅콩집 이야기’가 그 첫 번째 편이다. 전남 서해안의 농촌 마을에서 태어난 주인공이 학창 시절 겪은 절망과 극복 과정에 초점을 맞춘 자전적 성장소설이다.

개인적인 경험과 이야기를 소설의 소재로 삼은 데는 이유가 있다. 자신이 걸어온 삶만큼 정확하게, 또 절실하게 기술할 수 있는 건 없다고 생각했다. 문학은 허구라지만, 어디까지나 진실성을 담보해야 감동을 줄 수 있다고 믿었다. 강 교수는 “아름다운 꿈과 소망, 아픔, 부끄러움, 치졸함, 어리석음… 가감 없이 표현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장편 소설 ‘땅콩집 이야기 7080’은 지난해 출간된 ‘땅콩집 이야기’의 두 번째 편이다. 우리나라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을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인 주인공 이태민이 번민과 방황의 사춘기를 보낸 후 대학에 입학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청바지와 생맥주, 통기타로 대표되는 1970년대 청년 문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이 가득한 대학 캠퍼스를 경험한 주인공은 입대 후 남북 분단의 현실을 뼈저리게 체험한다. 군복을 입은 동안 10·26사태, 12·12사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대한민국의 굴곡진 현대사를 마주하는 동시에 결혼, 딸 출생 등 개인적인 사건도 겪는다. 배고프고 서러운 시간 강사와 조교로 일하는 동안에는 두 여동생의 사망, 어린 딸의 죽음 등과 맞닥뜨린다.

강 교수는 “‘땅콩집 이야기 7080’에선 지독하게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우리나라의 산업화, 민주화를 목도하며 성장한 7080세대의 아픔과 애환을 그리고 싶었다”고 전했다.

사실 ‘땅콩집 이야기’와 ‘땅콩집 이야기 7080’은 출간 전 인터넷 소설로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다. 특히 두 번째 편은 인기 순위 1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땅콩집 시리즈의 완결판인 ‘땅콩집 이야기 9010’은 내년 출간을 목표로 한다. 대학 교수가 된 주인공을 통해 한국 대학의 자화상을 파헤친다. 또 88올림픽 개최, 금융실명제 실시, 하나회 해체 등 국민적인 관심을 끌었던 사건도 조명한다.

강 교수는 “땅콩집 시리즈가 기성세대에게는 과거를 추억하면서 자신의 정당성과 정체성을 확인하는 기회가, 미래 세대에겐 세계 속의 한국을 일궈낸 부모 세대의 애환과 위대함을 간접 경험해 새로운 도약을 꿈꾸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명교 kmg8585@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