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교원평가를 하자!

2005.05.31 13:47:00

유치원에 다니는 학생,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평가를 할 때, 똑같은 기준으로 똑같은 잣대로 평가한다면, 큰 잘못이라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평가이다. 하물며, 현재 교육부가 제시한 교원평가는 어떠한가? 똑같은 기준으로 모든 교원들을 똑같은 잣대로만 평가하려고 한다. 이러한 교원평가에 대한 대안으로 교사발달단계에 적합한 효과적인 교원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교사발달에 관한 개념부터 살펴보자. “교사발달”이라는 용어는 교사가 교직생활을 하면서 교직관, 교직에 대한 신념, 가치관, 관심과 같은 영역에서의 태도 및 관점과 교과지식,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 학급경영, 업무수행, 교수방법, 수업전략, 교육과정의 구성, 계획, 절차 및 실행 등과 같은 영역에서의 기술, 지식 및 행동 등이 시간적 변화에 따라 교직 전 영역에 걸쳐 변화, 발전, 퇴보하는 현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교직경험을 하면서 교직과 관련된 여러 영역에서의 지식, 기술, 행동, 태도, 전망, 가치, 신념, 욕구 등의 계속적인 변화이다.

이러한 교사발달에 관한 모형은 직선적.순차적 발달모형과 순환적.역동적 발달모형으로 나뉠 수 있다. 직선적.순차적 발달모형의 대표적인 것은 생존→보강→갱신→성숙단계인 Katz의 모형과 교직경력 최초 10년까지→20년까지→30년까지의 Newman 모형이 있다. 이러한 모형들은 교사들이 교직생활에 입문하면서, 성숙도가 낮은 상태에서 보다 성숙도가 높은 상태로 한 단계씩 차근차근 밟아 성숙한 교사로 발달해 간다. 하지만, 순환적.역동적 발달모형의 대표적인 것은 교직이전⇒교직입문⇒능력구축⇒열중.성장⇒직업적 좌절⇒안정.침체⇒직업적 쇠퇴⇒퇴직단계인 Burke의 모형이 있다. 이 모형은 직선적.순차적 발달모형과는 달리 바로 전 단계가 바로 다음 단계로 바로 가지 않을 수 있고, 넘어서 다음 단계로 갈 수도 있다.

즉, 직선적.순차적 발달모형과 순환적․역동적 발달모형은 교사의 발달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서로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교직초기의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나는 교사발달을 설명하는데는 비교적 직선적.순차적 발달모형이 유용할 것이며, 교직의 전체기간 동안 일어나는 교사발달을 설명하는 데에는 순환적.역동적 발달모형이 유용하다.

따라서, 앞에서 제시된 교사발달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들은 요약컨대 대체로 교사들은 그들의 전체 교직기간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며, 교사의 관심사 또는 문제는 변화․발달단계에 따라 다르며, 다른 변화.발달단계에 있는 교사들은 다른 형태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원 양성 및 현직교육, 교원에 대한 장학, 그리고 교원 인사행정, 교원 승진 제도, 교원평가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교사발달에 적합한 교원평가는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현직교육이나 장학활동 등을 교원평가와 별도로 생각하여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보다 의미있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법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교사들의 변화.발달 단계별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 및 영역, 제공방법에 있어 조화를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교사발달단계에 관한 연구는 교육행정가나 장학담당자들이 교사들의 발달과정상의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장학지도 방법과 교원평가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다. 교사의 발달단계에 맞추어 다양한 교원평가의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발달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장기적인 종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시대적 흐름과 요구에 따라 교사발달에 적합한 단계적인 교원평가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교직경력 1년에서 10년된 교사는 교육행정가(교장, 교감 등)가 평가를 하고, 10년에서 20년된 교사는 동료교사가 평가를 하며, 30년 이상된 교사는 자기평가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발달 단계에 맞는 교원평가 척도가 빨리 개발되어야 함은 물론, 공청회, 세미나 등을 거쳐서 충분히 준비된 교원평가를 해야 한다.

이상의 예시적이고 대안적인 교원평가 방안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효과적인 교원평가의 방법은 교사의 경험이나 능력, 필요와 요구를 고려하여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하고 개별적으로 제시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신재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