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일부터 시작된 2학기 수시모집 가운데 특별전형이 외화내빈이라는 지적이 많다.
수시모집은 크게 교과성적을 위주로 하는 일반전형과 사회적 배려와 수험생의 재능을 고려하여 선발하는 특별전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2006학년도 2학기 수시모집은 178개 학교에서 총 15만 6531명을 모집하고 그 가운데 특기자를 포함한 특별전형은 10만 1672명을 선발한다.
특별전형 가운데 2만 1292명은 ‘취업자’‘특기자’‘농어촌학생’‘실업계고교 졸업자’‘특수교육대상자’‘재외국민 및 외국인’ 전형으로 모집하고,5분의4에 해당하는 8만 380명은 ‘대학독자적 기준’ 전형으로 선발한다.
문제는 특별전형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은 ‘대학 독자적 기준’ 전형이 대부분 성적을 중심으로 선발한다는 점이다. 물론 특별한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과학영재’‘외국어우수자’‘재능우수자’‘봉사활동 우수자’ 등 차별화된 전형 방법이 마련되어 있으나 선발 인원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 전형에 지원하고자 할 경우, 특기는 자격조건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은 성적으로 선발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니 대학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입학자 선발에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차등적 보상의 원칙 적용과 사회적 통념과 합치되는 범위에서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선발할 수 있다는 특별전형의 취지가 무색할 수밖에 없다.
수시모집에 지원하는 학생들과 상담하다 보면 대학에서 요구하는 특별전형 요건을 갖춘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니 대다수의 학생들이 자신의 성적을 고려하여 지원대학을 선택하는 수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다. 설령 특별전형에 해당되는 학생이 있다 치더라도 일반전형보다 훨씬 높은 경쟁률로 인하여 합격은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같은 특별전형이라도 자격요건의 비중이 높은 대학이 있는가 하면 내신성적이나 면접의 비중이 높은 대학이 있는 등 전형 기준도 천차만별이다.
말이 좋아 특별전형이지 상식적으로 고교 3년 동안 오로지 입시에만 매달린 학생들이 무슨 특별한 재주를 가질 수 있단 말인가. 그러니 일단 대학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과 비슷하면 자신의 재능과는 무관하게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는 심정으로 무차별적으로 지원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전형에 지원할 경우, 대학별로 각기 다른 내신, 면접, 논술 등을 준비하느라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기 마련이다.
특히 한 가지 전형에 지원하는 데만도 10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가는 등 가정경제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몰리는 일부 대학의 경우 전형료 수입만 수십억원이 넘는다는 얘기는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다. 그러니 특별전형을 명목으로 수시1, 수시2-1, 수시2-2 등 일년에 세 차례에 걸쳐 학생을 모집하는 대학도 부지기수다.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 고교에서 사실상 특별전형은 성적을 중심으로 선발하는 일반전형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처럼 말 그대로 특별하지 않은 전형을 특별한 전형처럼 ‘눈가리고 아웅하는’식의 전형방법은 수험생들을 기만하는 처사이자 고교교육을 황폐화시키는 또 다른 교육 횡포라는 점에서 하루빨리 개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