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약, 학교도 나서야 한다

2006.06.07 09:13:00

유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연일 고공 행진을 벌이고 있다. 특히 국내 소비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동산 두비이유는 60달러선를 가볍게 돌파한 뒤 70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2004년에 배럴당 33.64달러였던 것에 비하면 불과 2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상승한 폭이다. 이쯤되면 가히 기름값이 금값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듯 싶다.

유가 분석에 정통한 각종 연구기관은 고유가 시대가 향후 삼 년간은 더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자구책 마련의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유가 상승에 원화환율 하락과 원자재값 상승 등 이른바 3중고를 겪고 있는 기업들은 사운을 걸고 에너지 절약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직원들이 사무실을 비운 시간에 소등은 기본이고 이면지 사용을 의무화하가나 출장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세세한 부분까지 챙기며 에너지 절약을 독려하고 있다.

기름값 상승에 영향을 받아 물가도 덩달아 오르기 시작하자 가정에서도 에너지 사용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에너지 절약의 수범이 되어야할 학교에서는 아직까지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대처 방안을 내놓고 있지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기껏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포스터나 표어 몇 장 붙어놓고 내할 일 다했다는 식이어서는 곤란하다.

어쩌면 가정보다도 학교에서 낭비되고 있는 에너지가 더 많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일단 학교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공익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절약에도 한계가 있다는 선입견과 소비에 따른 책임을 개인에게 묻지 않는다는 점에서 에너지 문제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에너지 문제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학교 구성원 전체가 공유한다는 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에는 한 교실에 대형 형광등이 16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절반만 켜도 학생들이 수업을 하거나 책을 보는데 큰 지장이 없다. 햇볕이 환하게 비치는 날에는 모든 전등을 꺼도 학습에 방해받을 정도는 아니다. 다행히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부서에서 자주 교실을 점검하면서 불필요한 전기 사용을 억제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물론 아직 배움의 과정에 있는 학생들이기에 기성세대와 동일한 의식과 행동을 바랄 수는 없으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 문제는 입시가 교육의 모든 가치를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 절약과 같은 사회 공공의 가치는 학교 현장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에너지가 곧 국력이라는 말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에너지 확보를 둘러싼 국가간의 경쟁은 이미 총성없는 전쟁터나 다름없다. 특히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 나라의 입장에서는 에너지 경쟁이 격화될수록 그 상황은 더욱 절박할 수밖에 없다. 통계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세계 10위 수준이지만 에너지의 핵심인 석유 소비량(6위), 석유 수입량(4위) 등은 이미 경제 규모 순위를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가 시대, 절약만이 난국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그 실천에 있어서 핵심이 되어야 할 학교가 수수방관으로 일관한다면 에너지 절약은 한낱 공염불에 그칠 공산이 크다. '띠끌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처럼 교실 내에서부터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를 뽑고 불필요한 전등 사용을 줄이거나 다소 덥거나 추워도 에어컨이나 온풍기 사용을 자제한다면 줄어드는 에너지 소비만큼 유가도 떨어질 것이 분명하다. 물론 그로 인한 혜택은 국가는 물론이고 개인에게도 돌아온다는 사실을 분명히 가르쳐야 할 것이다.
최진규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