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수능을 치른 며칠 뒤였을 것이다. 2학년 때 담임을 맡았던 아이가 심각하게 교무실로 와서는 입시 담당 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2학년때 담임을 맡았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그 아이를 바라보게 되었다. 수시에 몇 번 떨어진 뒤라 다분히 초조한 기색이 역력했다.
어려운 가정 형편에 도시 학교로 갈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골의 조그만 고등학교에 진학해 나름대로 최선의 노력을 다한 아이였다. 그래서인지 안쓰럽다는 생각과 아울러 바라는 대학에 꼭 진학했으면 하는 희망을 교사로서 품게 된다.
○○아, 어떤 쪽으로 갈거니?
많은 선생님들도 역시 그 아이의 진학에 다들 관심을 두고 있었다. 대도시 상위권 학교의 우수한 아이들의 성적에는 비교되지 않지만, 그래도 시골학교에서 거둘 수 있는 최상의 성적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시에서 몇 차례 고배를 마신 탓에 여러 선생님들도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다.
“○○아, 정시에 어디로 쓰려 하니?”
“모르겠어요, 선생님. 생각만큼 성적도 많이 나오지 않았고…”
“그래도 그 성적 정도면 일류대학은 아니더라도 어지간한 대학은 지원이 가능할건데.”
“제가 가고 싶다고 무조건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리고 집안 사정도 있고 해서 쉽사리 결정이 안 되네요.”
아이는 지역할당제로 진학하려다 수시에서 고배를 마시는 바람에 상당히 의기소침해 있었다. 또한 자신이 가려고 하는 과와 부모님이 바라시는 바가 달라 갈등을 겪고 있는 듯 하였다. 또래의 많은 아이들이 수시에서 합격하는 바람에 느끼는 초조감도 상당히 있는 것으로 보였다.
2학년때 몇 번 이야기를 나누면서 지방 국립대학의 사범대학 쪽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을 자주 드러냈던 것으로 기억하지만, 현재 담임 선생님의 말씀으로는 그 쪽으로는 아예 생각조차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과 1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왜 그렇게 생각이 바뀌었는지 의아했다. 내심 조금 섭섭하기도 했다.
선생님요, 아이들 비위 맞추며 살아야 한다는 것이 좀 그렇잖아요!
선생님이 좋다며 내년에 꼭 사범대학에 진학하겠다고 말했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왜 그렇게 마음이 완전히 바뀌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노릇이었다. 특히 국어가 좋아 국어 선생님이 되겠다는 옹골찬 마음에 많은 기대도 걸고 있었는데, 그렇게 마음이 바뀌어 사대는 아예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니 그 마음을 정녕 헤아리기 힘들었다.
조금은 조심이 되었지만, 궁금해서 그 진위를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아, 그 정도 점수면 사대는 충분히 갈 수 있을 건데, 작년에 사대에 가서 교사가 되고 싶다고 그랬잖아?”
“선생님, 그렇지 않아도 집에서도 부모님이 사범대학에 가라고 하십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모르겠지만, 앞으로는 교직이 그렇게 유망한 직종이 안 될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사이에 생각이 많이 바뀌었구나. 도대체 왜 그렇게 생각이 바뀌었는지 궁금하구나.”
“선생님도 아시잖아요, 수시 준비하면서 사범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교원평가나 여러 가지 교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고, 그러면서 사범대학에 가려는 생각이 바뀌었어요.”
“조금 구체적으로 듣고 싶구나.”
“지금까지 그래도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나름대로 존경받고 사셨잖아요. 하지만 앞으로 교원평가나 여러 가지 제도가 실시되면 그야말로 학교는 엉망진창이 될 것 같아요. 선생님을 존경한다는 말은 옛말이 될 것이고, 또한 그런 상황에서 교사가 가지는 권위는 땅에 떨어질 것이 분명하잖아요. 물론 현재도 그런 면이 많지만요….”
“하지만 정말로 존경받는 선생님이 되기 위해 노력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선생님,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권과 평가권을 가지고 교사들을 휘두르는데, 과연 그런 존경이라는 말이 나오겠어요. 전 그런 부분들이 교사에 대한 환멸감으로 이어지더라구요. 물론 사범대학에 간다손 치더라도 교사가 되는 것도 아니구요.”
“환멸감이라…”
교사의 권위는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정녕 아이의 말을 듣고 있자니 과연 그게 가능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아이가 교사에 대해 가지는 일종의 편견일 수도 있지만 그것도 현재를 살아가는 많은 이들이 우리 교직을 바라보는 시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씁쓸하기 그지없었다.
몇 년전에 비해 사범대학에 진학하려고 하는 아이들이 많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사범대학에 진학해서도 교사가 되기가 하늘에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비단 교직에서뿐만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있는 어려움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 부쩍 교직사회를 무슨 경쟁의 시발점으로 생각하고 마구잡이식으로 사냥하려 드는 언론들의 작태나 교육당국의 태도를 짐작한다면 그 아이의 말이 전혀 틀리지 않았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만큼 우리 사회의 선생님들을 바라보는 눈이 왜곡되고 뒤틀려져 있다는 것이다.
아이의 입에서 ‘환멸감’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면 정히 그 아이가 그 동안 느꼈을 만한 마음의 상처를 헤아릴 수 있을 듯 했다. 물론 그 아이의 생각의 전환이 잘못된 것은 분명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그 아이의 마음을 완전히 바뀌버린 우리 현실을 생각하면 답답하기 그지없다.
결국 그 아이는 사범대학이 아닌 다른 전공을 선택하였다. 그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 아이가 교직에 대해 가지고 있는 그 생각과 느낌만큼은 왜 그렇게 교사인 나의 마음을 아프게, 아니 씁쓸하게 만드는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