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는 만큼 알게 되고 알아보는 만큼 사랑한다.’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청주지역의 산길, 들길, 물길, 마을길을 직접 걸어보는 답사와 산행으로 지역사랑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모임이 청주삼백리다.
송태호 대장이 이끌고 있는 청주삼백리는 그동안 42차에 걸쳐 청주 주변의 옛 길과 문화재, 청주를 둘러싸고 있는 산봉우리들을 샅샅이 답사하며 애향심과 함께 내공도 키웠다. 그래서 이제는 충청북도의 각 시ㆍ군까지 발걸음을 넓히기로 하고 충북답사를 시작했다.
일요일이었던 11일은 청주삼백리에서 충북답사를 처음 시작하는 날이다. 며칠 전부터 기상청에서 오랜만에 추위가 찾아올 것이라고 엄살을 떨었다. 막상 아침에 일어나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춥지는 않았지만 이른 아침이라 바람이 차기에 옷깃을 세우고 청주삼백리 회원들이 산행을 시작하기로 약속된 진로석수 주차장으로 갔다.
청주에서 미원을 향해 차로 20여분 달리면 금거리가 나타나고 이곳에서 우회전해 다시 3.3㎞를 가면 진로석수 공장이 있다. 시내와 달리 산속이라 냇가의 물에는 살얼음이 얼었다.
오늘 답사의 주목적은 무심천의 발원지인 벽계수 옹달샘을 찾아보는 것이다. 무심천은 분지지대의 평야에 형성된 청주의 젖줄로 시내를 남북으로 길게 가르며 흘러가다 미호천에서 합류한다. 그래서 청주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이라면 무심천에서의 추억을 몇 개쯤은 다 가지고 있다.
옛 무심천의 풍경 속에는 물고기를 잡는 어른들 옆에서 발가벗은 아이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다리 밑 그늘에는 장기를 두거나 낮잠 자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하지만 산업이 발달하며 시작된 환경오염의 그늘이 무심천을 사람들에게서 멀어지게 했다.
그동안 자연을 사랑하는 시민과 단체들이 물심양면으로 노력한 결과 각종 물고기나 철새들이 서식하는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했다. 새롭게 태어난 청계천이 서울시민들에게 사랑받듯 새로워진 무심천도 이제는 청주시민들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무심천은 직지심체요절, 상당산성 등과 함께 청주시에서 발표한 ‘청주의 자랑 10선’에도 올라있다.
발원지(發源地)는 흐르는 물줄기가 처음 시작한 곳이므로 하구에서부터 거리가 가장 먼 물줄기다.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이 압록강의 발원지라는 데에는 누구나 수긍을 한다. 그런데 주장하는 사람들마다 합당한 이유를 내세우기에 발원지가 정확하지 않은 곳도 있다.
그렇다면 청주시민들에게 사랑받는 무심천의 발원지는 어디일까? 흔히들 청원군 가덕면 한계리, 청원군 가덕면 내암리, 청원군 낭성면 추정리(머구미고개)를 무심천의 발원지라고 얘기한다.
세 곳의 발원지를 여러 번 답사한 결과 가덕면 내암리 뫼서리 골짜기에 있는 벽계수 옹달샘이 무심천의 발원지임이 분명하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청주삼백리 송태호 대장이다. ‘벽계수 옹달샘’이라는 발원지의 이름에 걸맞게 신비스럽고 깨끗해야 한다며 청주삼백리 회원들을 이끌고 수시로 발원지를 찾는 사람도 그 사람이다.
어쩌면 새롭게 시작하는 충북답사가 이곳에서 시작될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책에서 읽거나 얘기를 듣는 것으로 만족할 수 없는 게 역사적 사실이다. 내 발로 직접 현장을 찾고, 내 눈으로 직접 현장을 봐야 피부로 이해하는 게 역사다.
참석자들 모두가 그런 의미를 알기에 4시간에 걸쳐 뫼서리 깊은 골짜기에서 우리들을 맞이했던 벽계수 옹달샘과 보은군ㆍ청원군의 경계선에서 이름 없이 서있다 괴산의 군자산 자락에서 태어난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송태호 대장 덕에 멋진 이름을 얻은 군자봉(547m)을 돌아보는 답사 길이 더 즐거웠다.
일기예보와 달리 나무줄기 사이로 햇볕이 따갑게 내리쬐었다. 잠깐이지만 청미래 덩굴의 아름다운 열매를 보면서 겨울 산이 살아있음을 느꼈다. 유리산누에나방은 자연의 순수를 그대로 간직한 채 애처롭게 매달려 초록빛깔을 보탰다. 수시로 만나는 고라니의 배설물과 멧돼지들이 파헤친 현장을 목격하면서 숲 속에서도 생태계가 살아나고 있다는 사실을 반가워했다.
군자봉에서의 하산 길에 이곳 산줄기의 주봉인 청남산 상봉이 나무 사이로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