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플접수 대란’, 부끄럽고 슬픈 나라

2007.04.13 12:10:00

‘토플접수 대란’, 남의 일이 아니다. 대학 3년생 아들이 지난 며칠 새 얼굴이 초췌해졌다. 알고 보니 올 7월에 치러지는 토플(TOEFL)시험 응시 인터넷 접수를 위해 지난 10일 새벽부터 연 사흘째 밤을 꼬박 지새운 것이다. 토플 평가원(ETS)에 접속하기 위해 얼마나 자판을 두드렸는지 손가락이 저리고 눈도 아프다고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일본은 사실상 접수창구가 마비되어 아들의 '처절한' 밤샘 수고는 헛고생으로 끝났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현실을 당하고 보니 부끄럽고 슬프기만 하다.

기존 토플 시험 방식이 부정행위 등으로 부작용이 많아 신뢰도가 떨어지자 지난해부터 전 세계에서 동시에 시험이 진행되는 인터넷기반시험(IBT) 방식으로 전환되어 특정 장소에서 미국 서버에 접속해 시험을 치르도록 함으로써 응시자가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는 수요가 폭등하는데 응시 기회가 오히려 크게 줄어들어 이런 일이 생겼다.

최근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웃 중국, 대만, 베트남 등 그나마 비용이 적게 드는 동남아로 원정 시험을 보러 가는 기현상이 생기는가 하면, 접수에 성공한 사람들 가운데는 17만원인 토플 등록비에 웃돈을 붙여 30~40만원으로 뒷거래까지 생겼다니 이 무슨 해괴한 일인가. 우리나라 한해 응시자가 약 10만여 명으로 지난해 토플 응시료로 미국으로 빠져나간 돈만 약 160억여 원이라고 하니 참으로 놀랍기만 하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토플 대란’의 원인 제공자가 바로 초·중·고등학생이라는 사실이다. 현장 시험 감독에 따르면 미국 유학을 위한 성인 응시자는 20~30%에 불과한 반면 초·중·고등학생들이 70~80%를 차지할 때도 있다고 한다. 토플은 원래 미국 교환학생이나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로의 유학을 준비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학술적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그런데 웬일인지 우리나라에선 크고 작은 기업체의 취업시험은 물론 최근에는 외고 등 특목고나 대학 수시입학에서까지 영어 특기자를 선발하는데 대부분 토플 점수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외고에 진학시키려는 학부모까지 조를 짜 인터넷에 접속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국제중학교에 진학하려는 초등학생까지 이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 이런 학생들의 과열 때문에 토플 본래의 취지가 퇴색됨은 물론, 정작 토플이 필요한 유학생들은 접수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지경이 되었다. 즉 불요불급한 내수용 시험자로 인해 오히려 필요한 사람들이 응시 기회조차 잃어 해외원정을 떠나 시험을 치러야 하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영어의 중요성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중요성과 필요성에 관계없이 시도 때도 없이 토플 성적을 요구하다보니 요즘은 초·중·고등학생에서부터 전 국민이 영문도 제대로 모르는 채 ‘영어’에 주눅이 들게 되는 것이다. 이는 현대판 ‘사대주의’로 세계적으로 부끄럽고 슬픈 일이다.

이제는 해외로의 유학, 취업 등을 제외한 일반인을 상대로 무분별하게 토플 성적을 요구하는 일은 자제해야 한다. 만일 영어 실력이 필요하다면 기업체나 대학 등 국내인증기관이 개발한 공신력 있는 토종 영어인증시험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서울대학교의 텝스(TEPS), 한국외국어대의 플렉스(FLEX), 한국교육방송(EBS)의 토셀(TOSEL), 한국외국어평가원의 펠트(PELT) 등이 바로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응시료도 토플이 회당 140달러(약 14만원)선인 반면 이들 토종시험은 2만∼3만 원 선으로 훨씬 저렴하다.

더구나 최근 정치권에서도 토플·토익을 대체할 국가공인 영어시험을 만드는 내용의 ‘영어교육진흥 특별법안’이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온 국민을 ‘영어’로 주눅 들게 하는 부끄럽고 슬픈 나라, 차제에 우리 토종영어인증시험이 국적 없는 ‘토플’ 과열을 식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은식 충북영동고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