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DI와 한국경제학회는 우리경제교육,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를 주제로 세미나를 가졌다. 세미나에서 제시된 주요결과와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자.
첫째, 청소년들의 경제이해력 및 경제의식 조사 결과는 우려할 만한 수준이었다. 경제이해력 수준은 한국 고등학생의 경제 이해력 수준은 55.7점으로 미국(61.2점)보다 5점 이상 낮았고 일본(57.3점)에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전문계고교 학생 평균 점수가 43.9점으로 인문계 고교 학생(평균 57.4점)에게 크게 못미쳤다. 전문계고교에서 비즈쿨등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경제지식이 인문계 고교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
셋째, 분야별로는 기초적 경제개념 이해도는 6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국제경제 관련 이해도는 46.8점으로 가장 낮았다.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국제경제관련 이해도를 높여야 하겠다.
넷째, 고등학교에서 경제를 담당하는 교사 가운데 경제전공 교사는 10.6%에 불과하였다. 일반사회를 전공한 교사들의 경우에도 학부과정에서 경제학 과목을 2과목 이하로 수강한 교사가 30%로 경제학 학습 배경이 매우 취약하였다.
경제수업을 담당하게 된 이유로서 전공과 일치된다는 응답이 29.1%에 불과하고 자신의 전공과 관계없이 시수배분 과정에서 임의로 담당하게 된다고 47.7%가 응답하였다.
다섯째, 박명호 외국어대 교수가 시장경제 원리에 대해 인지도를 조사해본 결과 100점 만점에 52.44점에 불과하여 학생들의 56점에 비하여 낮았으려 많은 교사들이 경제문제를 해석하면서 합리적 근거보다 감정적 요소들에 의존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여섯째, 교사들이 수업에서 주로 이용하는 자료는 참고서와 문제집 28.9%, 교사용 지도서 27.9%로 나타났다. 학교 밖 경제교육의 자원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경제교육을 실시한 비율도 17.2%에 불과해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경제교육 연계성이 저조하였다.
최근 우리 나라에 신용불량자가 증가하고 학생들중 핸드폰 소비에 많은 지출이 따라 부모와 갈등을 하고 있다. 학생들이 핸드폰요금을 연체하고 공과금을 연체하면 학생들의 신용등급이 떨어진다. 실제로 구직자들이 신용등급이 낮으면 취업에도 불리하다. 기업에서는 신용이 좋은 사람도 많은데 신용이 나쁜 사람을 뽑아 회사 재정에 피해를 줄 가능성을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청소년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위하여 경제적인 지식과 경제적으로 살려는 의지(willingness to work), 경제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때부터 경제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경제에 관한 지식을 교과서에 의하여 습득하는 경우는 31.9%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신문이나 방송, 인터넷을 통한 것이었다.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을 나타낸다.
고등학교에서는 경제담당 과목은 가능한 경제학적인 전공을 이수한 선생님들이 담당하도록 유도하여야 하겠다. 또한 경제교사들에 대한 보충교육을 강화하여야 하겠다. 굥제담당교사들이 당장 활용가능한 교육보충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