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제에 대한 작은 생각

2007.11.21 16:01:00

요즈음 우리 반 아이들과 사는 일은 행복, 그 자체이다. 아침 8시를 갓 넘기면 교실에 들어와 거의 자동적으로 책을 펼치는 모습이 참 신기하다. 좋은 습관이 생기는 데 결코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한 결과이다. 아침에 등교하면 모든 일을 중지하고(짝끼리 이야기 하거나 선생님에게 인사하는 것도 목례 정도로 그치고) 책에 몰두하게 하였다. 이제 그 결실들이 하나씩 보이기 시작하였다.

틈만 나면 쉬는 시간에도,
"선생님, 책 읽어도 돼요?"
"놀이 시간에 교실에서 책 보면 안 되나요?"

심지어 점심 후 시간까지 교실에 남아서 책을 보는 아이들때문에 청소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억지로 내보다시피해야 밖으로 나가는 아이들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끼는 요즈음이다. 이미 학교에서 정해준 필독도서 60권을 훌쩍 넘기고 200권 가까이 읽는 아이들까지 생겼다. 21명 거의 대부분이 3월부터 지금까지 아침마다 40분씩 책과 가까이한 결과이다.

점심 시간도 예외가 아니다. 모든 아이가 음식을 남기거나 투정을 부리지 않으며 점심을 잘 먹어서 보기만 해도 즐겁다. 밥을 먹게 하려고 한, 두 시간씩 교실에 데리고 들어와 식판과 전쟁 아니 전쟁을 벌이기도 했고 먹기 싫어하는 음식까지 억지로 먹이지 말고 적당히 하시지 아이들을 귀찮게 한다는 핀잔까지 하는 학부모의 항의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담임으로서 책무를 다한 결과이다.

이제 나는 이 아이들을 담임해애 할 시간이 길게 남아 있지 않다. 내 마음 같아서는 2학년 때에도 이렇게 좋은 습관이 이어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어떤 시책은 담임이 바뀌면 아예 실천이 안 되는 경우도 생기는 걸 본다. 그렇게 열심히 하던 아이들도 해가 바뀌면 언제 그랬나는 듯 다른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적어도 아침 독서 태도나 식사 태도와 같은 기본 습관은 담임제를 했으면 하는 게 내 생각이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이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학교에서 아이들과 살다 보니 어렸을 때 형성된 습관을 고치기가 얼마나 어려운 지 절실하게 깨닫곤 한다. 바쁜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식사 습관을 제대로 길들여 주지 못해서 특정 음식에 거부감을 갖고 편식이 심한 아이, 외동이로 자라서 자기 밖에 모르는 아이들은 잘못을 하고도 사과할 줄 모르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거나 힘들게 하는 일도 참 많다. 교과목을 가르치는 일보다 인성 지도나 생활지도로 힘들어 하는 선생님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나 역시 식사 지도에 소신을 갖고 하루도 거르지 않고 편식 하지 않고 예의 바르게 먹기를 1년 내내 지도해 오고 있다. 이제는 자동적으로 습관이 된 아이들이 얼마나 예쁜 지 모른다. 이렇게 좋은 습관으로 자리 잡힌 기본 생활 태도는 다음 학년에도 꾸준히 이어져야 함을 생각한다.

담임 선생님에 따라서 일관된 교육 방침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도 현실이다. 날마다 일기 쓰기를 지도하는 분이 있는 가 하면 아예 쓰지 않는 학급도 있다. 학년에 따라서는 음식을 버려도 지도하지 않는 담임이 있는 것이 현실이고 아침 독서 지도 역시 바빠서 아이들과 함께 독서에 임하지 못하는 분도 있다.

가장 기본적인 생활태도나 인성지도 덕목에 관계된 교과목, 예를 들면 도덕, 국어, 수학과 같은 과목은 저학년 때부터 담임제로 하고 예능 교과나 실험 교과 등은 교과 전담제를 병행하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좋은 습관은 10살 이전, 즉 도덕성 발달 단계를 고려할 때 3학년 정도까지는 정직성이나 규칙을 준수하는 태도가 내면화되어야 함을 생각하면 2년 정도의 담임제가 좋다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 나라의 교육은 학력이나 실력의 문제가 아니라 가장 기본적인 인격과 품성에 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됨'의 바탕 위에 학력과 지력이 쌓일 때 진정한 교육의 힘이 나오기 때문이다. 입시 위주 교육으로 달리다 보니 보이지 않는 심성과 품성보다는 눈에 보이는 학력을 중시하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어 파생되는 문제점이 사회 문제로 등장한 것이다.

이제는 양보다 질적인 성장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눈만 뜨면 사기치는 정치인들의 소식, 뇌물로 얼룩진 대기업의 진실 공방은 이 나라 청소년들이 날마다 듣고 보는 새 소식이다. 커다란 사회 문제를 일으킨 사람들은 한결 같이 고학력과 소위 명문대 출신들이다.

학문은 자기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고 자신을 돌아보기 위한 가장 좋은 지름길이다. 그 학문과 학벌이 자신의 겉모습만 포장하고 속빈 강정처럼 텅 비어 있다면 뭔가 잘못된 것이 분명하다. 가장 기본적인 신뢰감이나 책임감조차 결여된 채 남을 누르고 올라서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 고학력이라면 다시금 생각해 볼 때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의 인성도 교육에 의하여 충분히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덕목을 꾸준히 연습하고 실천하다 보면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인성교육과 좋은 습관 형성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단계에서 2년이나 3년 정도의 기본 담임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수업 시간 수가 비슷한 1, 2학년은 2년씩 담임제로 하고 기능 교과만 교과 담임제로 하여 인력을 재배치하면 일관된 인성지도와 예체능 특기 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머리만 큰 어른들이 많은 뉴스를 볼 때마다 그 잘못이 교육에서 비롯됨이 아닌 지 고민하다보니 생각해낸 나의 사견임을 전제로 답답함을 토로해 본 글임을 밝혀 둡니다.)
장옥순 담양금성초/쉽게 살까, 오래 살까 외 8권 출간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