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게 옆으로 누운 잡목에 걸터앉아 봉암사와 구왕봉의 역사를 생각해본다. 심충의 권유로 봉암사의 위치를 산 아래에 정한 지증대사가 큰 못을 메우면서 도력으로 못에 살고 있던 용을 쫓은 곳이 구왕봉이다. 구왕봉을 날개봉으로 부르는 봉암사에서 해마다 소금단지를 묻어 기를 눌러준다.
알록달록 단풍 색깔이 고와 가을 정취가 아름답다고 소문난 곳이 지름티재다. 그런데 봉암사에서 세운 안내문은 가은읍 방향의 고갯길만 막은 것이 아니다. 지름티재 정상에서 희양산으로의 산행도 거부한다.
수행을 위해서라니 경북 가은읍의 봉암사 방향에서 구왕봉이나 희양산으로 산행하는 것은 제한할 수 있다. 하지만 남북도 50년이 넘게 막혔던 분단의 벽을 뚫어 마음대로 금강산과 개성을 여행하는 마당에 은티마을에서 올라온 등산객들까지 희양산 정상을 밟아보지 못하게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가로막고 있는 가느다란 줄 앞에서 고민을 하다 희양산 방향으로 발길을 옮겼다. 대부분의 산들이 그렇듯 희양산은 경북 문경시 가은읍과 충북 괴산군 연풍면의 도계에 있다. 해발 998m로 높이에 걸맞게 아름다움도 갖추고 있다.
백두대간의 산이라 등산인들이 즐겨 찾는 희양산은 정상이 경북에 속해 있고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바위봉이 장엄하다. 경북방향에서 봐야 더 아름다운 산이지만 봉암사에서 일반인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어 은티마을에서 산행을 할 수밖에 없다.
희양산은 바위로 이뤄져 등반하는 내내 각양각색의 바위를 만난다. 동쪽의 능선으로 20여분 올라가면 커다란 바위가 나타난다. 여러 개의 바위가 모여 틈 사이로 미로를 만들어 놓았는데 속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진다. 바위 위에 올라서면 아래 부분이 모두 들여다보이고 소나무 사이로 봉암사 계곡이 들어온다.
미로바위를 지나면 가끔 뒤편으로 구왕봉의 일부분이 모습을 나타낸다. 20여분 정도 오르면 바위벽으로 이뤄진 세미클라이밍 코스를 만난다. 로프에 의존해 까마득한 절벽을 올라야해 희양산을 등반하며 제대로 긴장감과 스릴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겨울에는 빙벽이 되기 쉬워 초보자들은 조심해야 하고 하산 길은 피하는 것이 좋다.
세미클라이밍 코스를 올라 10여분 가면 ‘희양산 정상으로 가는 길은 봉암사 소유의 임야로서 봉암사 측의 요청으로 인하여 입산이 통제된 구간입니다’라고 써있는 입산통제 안내문이 또 희양산으로 가는 발길을 가로막는다. 입산통제 안내문을 왜 ‘충북 산림본부 녹지팀과 괴산군 산림환경과’ 이름으로 세웠는지도 궁금하다.
정상으로 가다보면 가까운 능선에서 바위로 이뤄진 봉우리 두 곳을 연달아 만난다. 바위 끝에 서면 희양산을 닮은 구왕봉이 바로 앞에 나타난다. 구왕봉의 생김새를 제대로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이곳에서 바라보면 구왕봉과 그 뒤로 첩첩이 늘어선 봉우리들이 한 폭의 산수화를 그려놓고 있다. 주변의 기암괴석과 아름다운 소나무는 물론 바위 끝에서 내려다보이는 봉암사 계곡의 풍경도 장관이다.
희양산 정상은 가까운 곳에 있는데 ‘희양산’이라고 써있는 작은 돌탑의 자연석을 보고서야 이곳이 정상임을 알만큼 수수하다. 정상에서 가은읍 방향은 제법 조망이 좋다. 정상을 조금 지난 지점에서 뒤돌아보면 가은읍 방향으로 펼쳐지는 정상 부근의 암벽이 아름답다.
되돌아 나와 입산통제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북쪽능선을 타고 가다보면 자연석으로 쌓은 성터가 길게 이어진다. 고증이 되지 않은 성터지만 제법 규모도 크고 원형이 잘 보존돼 있어 중요 유물로 짐작된다.
성터에서 왼쪽으로 내려와 낙엽과 벗하며 한참을 걷다보면 계곡길이 나타난다. 이곳에서도 산길을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바위들을 만난다. 넓은 암반인 희양폭포의 가을철은 물이 흐르지 않고 낙엽으로 쌓여있어 그냥 지나치기 쉽다.
희양폭포에서 은티마을까지는 50여분 거리다. 비교적 평탄한 길을 걸으며 ‘갑옷을 입은 무사가 말을 타고 앞으로 나오는 형상’이고, 봉황의 날개가 구름을 치며 올라가고 용의 허리가 돌에 엎드려 있는 듯하다’는 옛사람들의 말에서 희양산의 모습을 떠올려보는 것도 좋다.
[교통안내]
1. 중부고속도로-증평IC-괴산-연풍-주진리 은티마을
2. 중부내륙고속도로-연풍IC-주진리 은티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