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후 100일 '문화대작전’을 활용하자

2007.12.17 08:23:00

수험생들은 11월 15일 수능을 보고 12월 7일 수능점수를 받아 등급제라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있다. 대학입시박람회를 방문하거나 입시설명회에 참가하여 정보를 모으는 학생도 있다. 또 학교에서 실시하거나 외부 기관에서 실시하는 초청강연회 등에서 앞으로 인생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도 있다.

아니면 학생들이 놀이동산에 단체로 할 일을 통하여 가지만 이미 초중학교때 많이 가본적 이 있어 재미가 없어 하는 것 같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 와서 학교에서 보여주는 비디오테이프를 보는등 특별한 할 일이 없이 소일하고있으며, 많은 학생들이 긴장이 풀리고 있고 학교가 혼돈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일부 학생들은 지난 12년 동안 못하고 하고 싶었던 일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 등을 하기도 한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일단 수험생들이 수능이라는 목표만 보고 옆도 안보고 전력집중하여 어린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목표를 달성하고 나니 그 이후 무엇을 하여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학교당국에서도 수능을 공부한다고 수고한 학생들에게 특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기 보다는 그냥 쉬게하는 것일 것이다. 학생입장에서는 수능을 본 이후 무엇인가 해보겠다는 목표가 없는 것이다.

수능시험자체가 목표가 아니지 않는가? 운전시험에서 1차 필기시험하였다고 끝이 아니지 않는가? 앞으로 실시고 있고 운전면허증을 딴 이후 어떻게 할것인가 생각하여야 하는 것 아닌가?  수능의 비중이 너무 크다보니 학생들도 전력질주하고 현재는 그 이후의 휴식기라 볼 수 있는데 3개월이면 너무 길지 않는가?

이제 몇 달 후면 고등학생에서 대학생, 혹은 사회인으로 탈바꿈하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가 바로 이때이다. 이 시기를 그냥 흘려보내기엔 너무 아까운 시간 아닌가? 공부도 시기가 있다. 나이들어 외국어 공부하면 금방 잊어버린다. 수험생들이 공부를 100정도 하였으면 완전히 0으로 만들기 보다는 30정도라도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공부하는 습관과 방법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앞으로 대학에 가서도 계속 공부를 하여야 하고 이제 직업생활을 하는데도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능만을 위한 공부를 하였지만 이제 수능이외의 공부도 필요하지 않은가? 앞으로 엄청나게 성장할 중국시장을 생각하여 중국어를 공부한다던지. 파워포인트나 엑셀을 배우면 대학가서 레포트 쓰는데 도움이 되고, 권장도서를 읽으므로써 자신만의 틀을 만들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가 수능이후 3개월이라 생각한다.

더구나 앞으로 사회에서 필요한 것은 시간관리이다. 누구나 인간은 하루 24시간을 사용가능하지만 어떤 사람은 잠을 자거나, 게임을 하거나 하면서 시산을 죽이고 있다. 앞으로 중요하고 긴급한 일을 먼저 하고 나중에 그렇지 않은 일을 하는시간관리가 세상을 사는데 매우 필요하다.

최근 문화관광부는 <문화로 모시기 운동>의 일환으로 정부, 국공립 기관 및 단체, 기업이 협력하여 수능을 치른 584,934명의 수험생 및 고3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수능 후 100일 문화대작전’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수능 문화예술의 체험이 학생들에게 상당히 큰 도움이 된다고 본다.

문화예술적 경험을 어떻게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좋은 점이 있다고 본다. 수능 이후 여유시간의 창조적 활용으로 예술적 감성 및 수용능력을 함양함으로써 건전한 시민의식 증진 및 잠재적 문화예술 관객을 개발이 필요하다.

첫째, 문화예술을 접하므로서 인생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문화공연을 봄으로써 삶의 철학적 깊이에 대하여 생각할 시간을 갖게하는 것이다.

둘째, 앞으로 문화예술분야로의 진로선택이 가능하다. 어떤 직업이 있는가를 생각할 수 있다.

셋째, 사회인으로서의 준비과정에서 필요하다. 선진 외국인의 경우는 문화에 관한 소양이 없으면 대화에 어울릴 숭 없다고 한다.

개구리가 높이 점프하기 위하여 움치리듯이 수험생들은 지난 12년 동안 공부한 것 20살가까이 살아온 인생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 과거 그 동안 나는 어떻게 살아왔나? 자신의 인생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할 기회를 가지라는 것이다. 아울러 과연 자신이 앞으로 성인이 되어 어떻게 살아야 할것인가를 생각하라는 것이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듯이 나는 과연 무엇으로 기억남고 싶은가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기간을 가지기 바란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특성에 대한 검사도 하여보고, 앞으로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데 나는 어떻게 살아야 히겠다는 것이다. 필요하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때부터의 앨범을 보면서 과거 만나다 헤어진 친구와 연락하여 같이 등산을 가거나 하는 등의 경험도 좋을 것이다.
이영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