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국어의 숭례문 될 수 있어
새 해 들어 좋은 소식보다는 우울하고 안타까운 소식들만이 들려옵니다. 새 대통령이 당선되면 그래도 기쁜 소식, 희망을 품을 수 있는 소식들이 들려올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갑자기 영어몰입교육이란 말이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하여 많은 학부모와 아이들을 고민에 빠지게 했습니다. 그러다 지난 11일엔 국보 1호인 숭례문이 우리 눈앞에서 잿더미로 변하는 참혹한 모습을 속절없이 지켜봐야 했습니다.
요즘 아이들 사이에서 하나의 유행어가 된 ‘오렌지? 아니죠. 어륀지, 맞습니다.’는 희화화가 되어 냉소적 유희어가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 중에 영어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어쩌면 영어에 안달 난 국민이 우리나라 국민인지 모릅니다. 세계화 국제화를 떠나 영어를 못하면 세상을 살아가기 힘들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기 때문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어를 배우는 목적을 단순히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배우기보단 삶의 수단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생존수단으로서 배우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 않으면 안 되기에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영어는 생존의 필수로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 중엔 유치원 아니 태어나자마자 우리말보단 영어를 들으며 자라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들의 부모가 어린 아이에게 영어를 들려주는 이유가 단순히 의사소통도구로서 언어를 배우라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자신도 모르게 영어 강박관념에 빠진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영어를 익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이 험한 세상 좀 더 편하게, 낫게 살아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영어를 강조하다보니 간과하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말에 대한 인식입니다. 우리말은 그냥 내버려둬도 되는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싶습니다. 특히 이번에 영어교육을 무슨 종교적 신념처럼 생각하고 있는 인수위원장과 여기에 발을 맞추며 영어로 인사를 하고, 새 정부 대통령실 수석 내정자 명단을 발표하면서 했다는 '두잉 베스트(doing best)’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말은 하나의 희극인지 비극인지 모르겠습니다.
대통령은 한 나라의 대표이고 얼굴인데 엄연히 훌륭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는데도 굳이 영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심히 궁금합니다. 아무리 우리나라 학교의 영어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말입니다.
헌데 대통령 당선인이 사용했다는 '두잉 베스트(doing best)’라는 표현은 영어에 없다고 합니다. 이건 무슨 의미일까요? 우리가 가장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말은 영어가 아니라 우리말이라는 것입니다. 모국어에 대한 인식 없이 사용한 외국어의 숭배는 또 다른 국어의 숭례문을 만들 여지가 있는 것입니다.
한 번 생각해봅시다. 지난 500여년을 우리와 함께 한 숭례문이 불길 속으로 사라진 이유가 단순히 한 노인의 방화 때문일까요. 직접적인 원인은 개인적 화풀이 대상이 된 노인의 방화 때문이겠죠. 하지만 조금만 생각하며 우리 의식 속에 숭례문은 없었던 건 아닐까 싶습니다. 아니 숭례문이라는 건물은 있었지만 그 속에 담겨 있는 역사나 문화, 숨결은 기억의 저편에 버려둔 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보여주기용으로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도 않은 채 개방을 했고 사후관리도 엉성하게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왜 그랬을까요. 혹 돈이 안 돼서 그럴까요. 모든 것을 경제적 가치로 따져서 그런 건 아닐까요.
겉보기에 화려하고 큰 것만이 좋은 건 아니라고 봅니다. 온 국민이 영어에 푹 빠져 모든 사람이 영어를 능수능란하게 한다고 해서 나라가 부강해지고 국민이 행복할 거라고 생각지는 않습니다. 물론 도움은 되겠지요.
하지만 작고 허름하지만 그 속엔 담긴 숨결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있을 때 어쩌면 행복해지는 건 아닐까 싶습니다. 노숙자들의 쉼터로 전락하고 화마에 휩쓸려 갈 때까지 방치되었던 국보 1호 숭례문이 다 타버리고 난 후에야 분노하고 안타까워하는 것처럼 영어, 영어 하다가 어느 순간엔가 우리말과 얼이 사그라졌음을 깨달을 때 또 후회할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지나친 기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