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무를 줄입시다!] 작은 것부터 하나씩!

2008.04.04 14:46:00

내가 근무하는 학교는 6학급 41명의 작은 학교이다. 작은 학교라서 좋은 점이 많다. 가족적인 분위기, 아담한 풍경,차분한 학습 분위기 등 여러 가지로 좋은 점이 많다. 전교생과 선생님들이 가족처럼 살다보니 서로 아끼는 모습이 여간 아름답다. 콩 한 쪽이라도 나눠 먹으려고 노력하는 모습, 서로 도와주려는 모습이 보기 좋은 학교이다.

문제점이 있다면 각 선생님이 맡아야 할 업무 분장이 보통 학교의 두, 세 배는 된다는 점이다. 큰 학교와 다름 없이 시행해야 하는 공문과 협조 업무는 같은데 몇 명 되지 않은 교직원이 일을 맡다보니 아무리 일을 줄이려고 노력해도 기본적인 업무량은 어찌할 수 없다. 학교에 주어지는 업무가 학생 지도와 관련이 없는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날마다 처리해야 할 담당업무와 보고 공문의 기일을 놓치지 않으려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때로는 내가 아이들을 가르치려고 있는 것인지, 업무처리를 위해 있는 것인지 갈등을 느끼기도 한다. 비단 나 혼자만의 생각은 아니다. 부장교사를 맡으면서 고학년 담임을 하는 선생님은 그야말로 얼굴 색이 안난다. 부장교사직을 고사하길 잘 했다고 생각하면서도 은근히 미안해지기도 한다.

우리 학교는 '행복한 학교'를 지향하고 있다. 아이들이 행복하고 선생님이 행복한 학교를 꿈꾼다는 뜻이다. 똑 같은 일을 하더라도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구성원들 간에 서로 아끼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학교장 이하 전 직원이 마음을 열고 노력한다. 그러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것인가, 잡무를 줄일 것인가, 생산적인 시스템을 만들 것인가를 연구하고 시행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첫째,정례 회의를 과감히 생략하였다. 의사소통 체계를 수립한 것이다. 연간 계획과 월별 계획, 주간 계획, 일일 계획에 이르기까지 3월이 시작되기 전에 완벽하게 기본 매뉴얼이 작성되어 추진하고 있다. 전직원 회의가 주 1회에도 미치지 못하면서도 업무 처리에 지장을 받거나 일처리가 안 되는 경우가 없었다. 고무줄처럼 늘어지는 회의도 없으니 좋고 회의를 하기 위해 아이들을 방치하는 일도 없으니 더 더욱 좋다. 그리고 회의가 있다하더라도 지시하는 경우보다 격려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차원의 회의라서 경직된 분위기가 아니니 교직원들의 얼굴도 밝다.

둘째, 결재 과정을 과감히 줄이고 전결 규정을 충실히 지켜서 결재 과정에서 시간을 끄는 일이 거의 없는 편이다. 선생님들끼리 각 교실에 알릴 사항이나 조사를 하기 위해 수업 중에 회람을 돌리지 않기 위해 메모창을 적극 활용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있다. 그 시작은 새로 부인해 온 최명화 정보부장이 시도한<메모창 활용하기>였다. 필요한 공문을 복사하거나 양식을 만들어 회람 돌리는 대신에 메모창을 띄워 연락사항을 알리고 첨부 공문이나 양식까지 메모창에 덧붙이니 용지도 절약되고 수업을 방해할 지도 모르는 회람을 없애서 참 좋다.

긴급한 사항이나 학부모에게 통지할 내용까지도 메모창을 띄워 전체 학급에 알리면 되니 따로 전달하기 위해 회의를 하거나 사본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시간도 절약하고 복사 용지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짧은 인삿말을 한 줄 정도만 보내도 서로 격려하게 되어서 웃음을 머금게 된다.

때론 힘들어하는 선생님께는 위로의 멘트도 날리는 여유를 나누며 자칫 폐쇄적인 공간에 갇히기 쉬운 칸막이 교실에서 정을 느끼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공문을 작성하기 위해 통계조사를 하기 위해 각 교실을 드나드는 시간을 단축하게 되어 잡무처리 시간을 절반 이상 줄이고 있다. 더불어 업무 전달 방송으로 인한 소음까지 줄였다. 기획안을 만들어 메모창으로 띄우면 각 교실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바로 메모창으로 답신하니 잡무를 줄이는 데 메모창은 충복 구실을 하고 있다.

학교 홈페이지에 뜨는 일일교육활동 계획을 보는 순간 교무부장 정동방 선생님이 보내는 정에 넘치는 아침인사 메모창을 보며 아침독서를 시작하는 차분한 교실 풍경을 상상해 보시라. 클래식 음악이 흐르고 아이들과 선생님은 조용히 아침독서를 하면 창 밖에는 흐드러진 봄꽃 향기 속에 새들이 노래하는 아담한 농촌 학교 정경을!

우리 학교에서 모임 시간이 있다면 떡을 나누어 먹거나 서로 아끼는 음식, 색다른 음료수나 차를 가져 왔을 때 메모창이 뜨면 쉬는 시간에 잠시 얼굴을 보며 웃는 시간을 만들며 1, 2분 짜리 만남을 즐긴다. 우리 학교는 모이는 시각을 기다린다는 표현이 더 맞다. 뭔가 기대감이 있기 때문이다. 즐거운 만남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이 원만하지 않아 잘 돌아가지 않는 학교나 조직일수록 회의를 많이 하고 길게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몸의 혈행이 원만하지 않아 혈압에 이상이 생기듯 조직도 마찬가지이다. 어느 한 군데서 막히면 일처리 속도와 효율에 문제가 발생한다. 자신의 업무를 한 발 앞서 추진하려고 노력하고 한 사람 때문에 일이 막히지 않도록 수시로 조율하고 도와주는 가운데 애로 사항은 터놓고 이야기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불만이 쌓이면 막히기 시작한다. 학교는 선생님이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하다. 그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주어진 여건 속에서 최대한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것은 모든 교직원이 함께 추구해야 할 목표이다.

아침마다 전 직원이 회의하는 대신 메모창에 날마다 색다른 행복한 인삿말을 선사하고 퇴근 길에는 오늘도 수고하셨다며 안전하게 귀가하시라는 기원 메세지까지 어김 없이 보내는 교무부장님은 날마다 바꿔 써야 하는 메모창 앞에서 행복한 고민을 한다는 우리 학교는 분명히 앞서 가는 학교, 인간적인 학교가 아닐까?

칭찬과 격려로 교실 문을 열고, 선생님과 아이들에게 무엇을 선물할까 가방 속에 뭔가를 담아오는 풍경, 선생님들에게 '오늘도 행복하셨습니까 ?'묻는 배남주 교장 선생님의 배웅을 받으며 퇴근하는 학교라면 어떤 업무도 힘들지 않고 서로 맞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친목 담당 선생님이 직원들의 생일을 알려 달라는 메모창을 보냈기에 그냥 즐거운 마음으로 알렸더니 당장 축하 행사를 해준다며 생일 케잌은 사지 말라고 한다. 그래서 나는 내일 내 생일에 호박떡 한 상자와 딸기를 사 가기로 했다. 그 정도면 전 직원과 전교생이 함께 먹을 수 있으니 가장 거칭한 생일 축하를 받을 것 같다.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엄지족은 아니지만 메모창 덕분에 업무 처리 시간이 줄었다며 메모창 예찬론자가 되었다. 특히 공문만 달랑 보내지 않고 짧은 유머 멘트 한 마디에도 피로가 가신다며 퇴근 시간이면 서로 얼굴을 보며 웃곤 한다. 그것은 바로 상대방을 위한 배려와 친절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새는 잘 웃게 해주는 선생님이 짱이다. 15초 웃으면 이틀을 더 산다고 했다던가?

잡무를 줄일 방법은 널려 있다. 마음을 열고 방법을 찾으면 무수히 많다고 생각한다. 가장 작은 일이 가장 큰 일을 이루게 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잡무를 줄이는 것은 결국 아이들을 위한 일이다. 선생님이 교실수업에 몰입할 시간을 버는 일이기 때문이다. 노인석 교감 선생님께 직접 찾아 가지 않고도 메모창으로 업무를 상의하기도 하고 지시사항을 전달 받으며 죄송하다 했더니 종종 이용해 주시라던 말씀을 듣고 혼자서 웃었던 오늘. 교실에 아이들이 있어서 자리를 비울 수 없었는데 몇 분이 걸릴 면담을 몇 초 안에 처리한 것이다.

내가 처리하는 공문은 줄잡아 하루 평균 3건 정도된다. 방과후학교 업무와 영어공교육, 특활 업무, 도서, 독서 업무 등으로 기획안이나 보고 공문, 행사 참여 업무가 주를 이룬다. 그런데 대부분 메모창으로 회람과 조사 업무, 전달 사항을 추진하면서 행동 반경이 작아져서 일처리가 자동화 되어가고 있다.

이제는 급한 보고 공문 때문에 수업중에 아이들을 회람 보내거나 심부름 시키지 않아서 참 좋다. 그것 자체가 수업침해이기 때문이다. 쉬는 시간에 잠깐 전체 메모창을 띄우는 것으로 끝나기 때문이다. 혁신은 먼 곳에 있지 않다. 생각을 바꾸는 순간, 일에 끌려 다니지 않고 즐겨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다.
장옥순 담양금성초/쉽게 살까, 오래 살까 외 8권 출간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