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는 나당연합군에 의하여 멸망한 백제의 마지막 수도다. 승자에 의해 쓰이는 게 역사이다 보니 부여는 백제 패망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도시다. 그런 연유 때문일까? 아니면 삼천궁녀의 낙화암과 황토 빛 백마강 때문일까? 부여에 들리면 역사가 멈춘 듯 고요하고, 그 속에서 애환을 발견한다.
하지만 100여 년 이상 한 나라의 수도로 영화를 누렸던 곳이고, 일본고대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칠 만큼 일찍부터 예술 혼을 꽃피워 이전의 수도였던 공주와 함께 훌륭한 백제문화가 많이 남아있다. 부소산을 중심으로 낙화암, 고란사, 백마강, 정림사지, 궁남지 등 옛 사람들의 자취가 남아있는 문화재와 사적들이 가까이에 있다. 여러 번 들렸던 곳이지만 이번에 정림사지와 궁남지를 돌아보며 새롭게 백제의 문화를 이해했다. 수북정에서 부여의 아름다운 경치도 만끽했다.
정림사지에 꽃을 피운 들국화나 논에서 꽃을 피운 수련들이 궁남지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도 여행의 피로를 풀어주는 활력소다. 문화유적들이 서로 가까운 곳에 있어 굳이 위치를 알려고 신경 쓸 필요도 없다. 백제의 문화를 알고 싶은 마음만 있으면 되는 곳이 부여다. 박물관에서 안내하거나 문화유산을 해설해주는 분들도 친절이 넘친다.
부여군청문화관광(http://www.buyeotour.net/), 정림사지박물관(http://www.jeongnimsaji.or.kr/을 통해 이번에 구경하고 온 정림사지, 정림사지오층석탑, 정림사지석불좌상, 궁남지, 수북정을 알아본다.
*정림사지(사적 제301호)
1980년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금당지, 중문지, 강당지, 회랑지 등이 확인되었고 또한 석탑 기초의 판축기법, 다량의 와당과 격목와(格木瓦) 등이 발견되어 백제시대 창건이 분명하게 되었다.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시기(538-660)의 중심 사찰이 있던 자리다. 발굴조사 때 강당 터에서 나온 기와조각 중 ‘태평 8년 무진 정림사 대장당초(太平八年 戊辰 定林寺 大藏唐草)’라는 글이 발견되었다.
발굴조사에서 드러난 절 앞의 연못이 정비되어 있고, 석불좌상을 보호하기 위한 건물은 1933년에 지어졌다. 백제 때에 세워진 오층석탑과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불좌상이 남아 있다.
*정림사지오층석탑(국보 제9호)
정림사지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표현하는 목조건물의 배흘림기법을 이용하였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부드럽게 들려져 단아한 자태를 보여준다.
익산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2기만 남아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이라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세련되고 정제된 조형미를 통해 격조 높은 기품을 풍기고 있는 아름다운 작품이다.
*정림사지석불좌상(보물 제108호)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으로 정림사지오층석탑과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다. 6세기 중엽에 처음 창건되어 백제 멸망 때까지 번창하였던 정림사가 고려시대에 다시 번창했던 것을 보여주는 석불상이다.
지금의 머리와 보관은 제작 당시의 것이 아니라, 후대에 다시 만들어 얹은 것으로 보인다. 신체는 극심한 파괴와 마멸로 형체만 겨우 남아 있어 세부적인 양식과 수법을 알아보기 어렵지만, 어깨가 밋밋하게 내려와 왜소한 몸집을 보여준다. 좁아진 어깨와 가슴으로 올라간 왼손의 표현으로 보아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 쥔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불상이 자리 잡고 있는 위치가 백제시대 정림사지의 강당 자리로 이곳에서 발견된 명문기와를 통해 이 작품은 고려시대에 절을 고쳐 지을 때 세운 본존불로 추정된다.
*정림사지박물관
정림사지는 백제도성 건설과 함께 세워진 이후 백제 사비시대에 절정을 이루는 불교문화 중심축의 중요한 유적지이며 일본 고대사찰의 효시를 이룬 곳으로 중앙홀, 백제불교문화관, 정림사지관, 부대시설로 구성된 박물관을 건립하였다.
*궁남지(사적 제135호)
부여읍 남쪽에 위치한 백제시대 별궁 연못이다. 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삼국사기의 “3월에 궁성 남쪽에 연못을 파고 물을 20여리나 되는 긴 수로로 끌어들였으며, 물가 주변의 사방에는 버드나무를 심고, 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어 방장선산을 본떴다”는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궁남지는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붙여진 이름은 아니고, 백제시대에는 단지 대지라고 불리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뱃놀이를 할 수 있을 만큼 그 규모가 컸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 규모가 얼마나 컸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고 현재는 1만평 정도만 남아 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약 3만평 정도가 연못으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바다와 같이 큰 연못을 왕궁 근처에 만든 것은 백제가 처음이었다.
*서동과 선화공주의 사랑이야기
“사비시대에 왕궁 남쪽 못 가에는 궁궐에서 나와 혼자 사는 여인이 궁남지의 용과 교통하여 아들을 낳았으니, 그가 바로 백제 제30대 왕인 무왕 장(璋)이다.”
어머니가 용과 교통하여 아들을 낳았다고 하였으니 그의 아버지는 왕이거나 태자였을 것이다. 그러나 궁궐 밖의 생활이 궁핍하였으므로 생계유지를 위해 마를 캐다 팔아 아명이 서동이었다.
가난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는 정성으로 키웠고, 서동은 기골이 장대하고 효성이 지극한 장부로 성장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궁중에서 한 노신이 찾아와 신라의 서라벌에 잠입하여 국정을 탐지하라는 왕의 밀명을 전하였다.
서동은 마를 파는 상인으로 위장하고 신라에 잠입하여 탐지활동을 수행하다가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셋째 딸인 선화공주와 마주치게 되었다. 이후 두 사람의 만남이 잦아지면서 사랑이 싹텄으나 국적과 신분이 달라 맺어질 수 없는 사이였다.
두 사람은 지혜를 짜내 서동요를 만들어 퍼트리기로 했다. 서동은 서라벌의 아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가서 마를 나누어주며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시집가서 서동 도련님을 밤이면 몰래 안고 간다.”는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는 아이들의 입을 통해 온 나라에 퍼져 나갔다. 결국 대궐에까지 알려지게 되어 오해를 받게 된 선화공주는 귀양을 가게 되었고, 이를 미리 알고 있던 서동이 선화공주를 백제로 데려와 행복하게 살았다는 사랑이야기이다.
*수북정(문화재자료 제100호)
부여팔경의 하나로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 동에는 부소산과 나성이 있고 정자 밑에는 백마강이 맑게 흐르고 있다. 조선 광해군 때 정자를 건립한 양주 목사 김흥국의 호를 따서 수북정이라 불린다.
수북정 아래쪽에 있는 자온대는 백제시대 왕이 왕흥사에 행차할 때 이 바위를 거쳐 갔는데, 왕이 도착할 때마다 바위가 저절로 따뜻해져서 구들돌이라 명명했다 한다. 이 전설에 따라 자온대라 하며 암벽에는 우암 송시열이 자온대(自溫臺)라고 쓴 친필이 음각 유존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