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가 중심이 된 일제고사 거부운동을 두고 논란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일제고사거부=교육포기라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그 의도야 어찌됐든 법에 따라 시행되는 시험을 거부할 명분은 뚜렷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학업성취도평가라는 명분의 일제고사를 무작정 찬성할 만한 입장도 아닌 것이 일선학교의 생각일 것이다. 시험을 치르면서 왜 전교조의 눈치를 보면서 시행해야 하는지도 문제의 핵심이 될 수 있다. 학교장들은 그저 조용히 시험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괜히 자신의 학교가 문제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것이 부담스럽기 때문일 것이다.
일선학교에 전교조 교사들이 많은 학교는 일제고사 거부라는 명분을 많이 내세우지만 전교조 교사들이 많지 않은 학교는 그래도 평온한 가운데 시험일을 기다리고 있는 처지라고 하는 것이 현 상황의 가장 적절한 표현이 될 것이다. 일제고사문제는 전교조가 중심이 되어 거부하고 있는 것이 가장 핵심이지만 여기에는 언론들의 역할도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생각이다. 원래 명칭인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라는 표현대신 '일제고사'라는 표현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표현은 전교조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현이기는 하지만, 언론들이 전교조의 주장에 자꾸 말려들어 별다른 관심없던 일반인들에게까지 파문을 확산시키고 있어 문제가 자꾸 사회 이슈화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일선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시험결과에 따라 학교의 서열화가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생각은 교장이나 교감등의 관리자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교사입장에서 그보다 더 부담스러운 것이 있다. 서술형채점과정에서의 공정성 문제와 아직까지 학생들에게 2학기 중간고사결과가 통보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또다른 시험결과를 뽑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고등학교의 모의수능시험처럼 평가원에서 일괄적으로 채점한다면 문제가 덜하지만 모든 채점을 일선학교에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럽다. 예산부족으로 일선학교에서 채점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역으로 보면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시행되는 것이 옳은 것이냐는 것을 묻고 싶은 심정이다.
완벽하게 준비된 상태에서 시험이 실시된다면 지금보다 반대의 목소리가 도리어 줄어들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물론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한다면야 어쩔수 없겠지만 완벽한 준비와 실제로 학부모들이 원하는 정도가 어느정도인지 명확하게 드러난 상태라면 반대명분이 그만큼 설득력을 잃게 되는 것이다. 성취도 시험을 실시하는 그 자체보다는 준비부족을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전교조 교사들이라고 모두 성취도평가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찬성하고 있는 교사들도 있지만 준비부족은 강하게 비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최종결과처리는 12월인데도 학교에는 10월 말까지 성적처리를 완료하라고 하고 있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정규고사의 처리기간도 2주이상 소요된다.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를 12월에 최종결과를 통보하면서 성적처리는 10월말까지로 한 것이 정상적인 방향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일선학교의 중간고사 처리가 완료된 후에 성취도평가의 결과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은 아주 기본적인 것이다. 무조건 하라는 식의 문제점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이런 것들이 바로 준비가 덜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올해 시행후에는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진일보된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학생, 학부모, 교사들 모두에게 득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