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치다’와 ‘붙이다’

2009.11.16 16:58:00

한글맞춤법 제22항에 보면, 용언의 어간에 ‘-기-, -리-, -이-, -히-, -구-, -우-, -추-, -으키-, -이키-, -이키-, -애-’가 붙어 이루어진 단어는 원칙적으로 구별하여 적는다는 규정이 있다. 그 예가 ‘맡기다/뚫리다/낚이다/굳히다/돋구다/돋우다/갖추다/일으키다/돌이키다/없애다’이다. 이는 어간에 피동화 접미사나 사동화 접미사가 붙어서 피동사와 사동사로 파생된 단어다. 이때 피동화, 사동화 접미사는 어간의 뜻과 분명히 구분된다. 즉 어간은 실질 형태소로서 어휘적 의미를 나타내지만 피동, 사동 접미사는 형식 형태소로서 문법적인 뜻을 나타낸다. 그리고 어간과 접미사의 경계도 대체로 분명하게 구분되므로 어간과 접사의 꼴을 구분하여 어간과 접사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다만, 원래의 뜻에서 멀어진 사동사와 피동사를 적을 때는 소리대로 적는다. ‘들다(入), 곧다(直), 받다(受), 걷다(撤), 밀다(推), 일다(起)’ 등에 접사가 붙어서 ‘드리다(獻), 고치다(改), 바치다(納), 거두다(收), 미루다(轉), 이루다(成)’가 된 것이다. 이들은 각각 접미사가 붙어서 나온 말이기는 하지만, 원래의 어근이 가졌던 뜻과 접미사가 붙어서 된 새 말의 뜻과 너무 거리가 멀다.

‘부치다’와 ‘붙이다’는 음운은 다르지만, 어원은 ‘붙다’로 같다. 따라서 이 규정에 따라 ‘붙다’의 의미가 살아 있으면 ‘붙이다’로 적고, 그렇지 않으면 ‘부치다’로 적는다.
덧붙여, 두 단어를 사전에서 검색하면,

‘부치다’1모자라거나 힘이 미치지 못하다. - 그 일은 힘에 부친다.
‘부치다’21. 편지 또는 물건을 보내다.- 편지를 부치다.
2-1. 어떤 문제를 다른 곳이나 다른 기회로 넘기어 맡기다.- 안건을 표결에 부치다.
2-2. 어떤 일을 거론하거나 문제 삼지 아니하다.- 회의 내용을 극비에 부치다.
2-3. 원고를 인쇄에 넘기다.- 원고를 편집하여 인쇄에 부쳤다.
2-4. 먹고 자는 일을 제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하다.- 밥은 주인집에다 부쳐 먹기로 했다.
3. 어떤 행사나 특별한 날에 즈음하여 어떤 의견을 나타내다. 주로 글의 제목이나 부제(副題)에 많이 쓰는 말이다. - 한글날에 부쳐
‘부치다’3
논밭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다. - 평생 남의 땅을 부쳐 먹고 살았다.
‘부치다’4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기름을 바르고 빈대떡, 저냐, 전병(煎餠) 따위의 음식을 익혀서 만들다.- 전을 부치다.
‘부치다’5
부채 따위를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키다.- 부채를 부치다.

‘붙이다’
1.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게 하다.-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2. 불을 붙게 하다. - 담뱃불을 붙이다.
3. 조건, 이유, 구실 따위를 따르게 하다. - 계약에 조건을 붙이다.
4. 식물이 뿌리가 내려 살게 하다.
- 땅에 뿌리를 붙이다.
5. 주가 되는 것에 달리거나 딸리게 하다. - 본문에 주석을 붙이다.
6. 신체의 일부분을 어느 곳에 대다.- 차가운 방바닥에 등을 붙이고 누웠다.
7. 윷놀이에서 말을 밭에 달다.- 세 번째 말을 붙이다.

‘부치다’와 ‘붙이다’는 사전 풀이의 형식이 다르다. 이는 두 단어의 성격을 말해 준다. 우선 ‘부치다’는 ‘힘이 부치’는 상황과 ‘편지를 부치’는 상황에서 ‘부치다’는 우연이 음이 같을 뿐이다. 즉 두 단어는 아무 연관 관계가 없다. 이처럼 음은 같지만 뜻은 전혀 관계가 없는 말을 동음이의어라고 한다. ‘배’라는 단어도 마찬가지다. ‘밥을 많이 먹어 배가 부르다.’, ‘추석이라 배가 비싸다.’, ‘배가 비바람에 흔들리고 있다.’에서 ‘배’는 ‘신체의 일부’, ‘과일’, ‘선박’의 뜻을 나타낸다. 이도 모두 음은 같지만, 뜻은 다르다.

‘붙이다’는 하나의 단어에 뜻이 여럿이다. 이는 다의어라고 한다. 현대 국어에서 다의어의 분류는 정확히 내리기 어려운 면이 있다. 하지만 학교 문법에서는 ‘붙이다’처럼 여러 개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면 다의어라고 본다. 문제는 다의어가 두 가지 이상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는 해도 어느 정도 연관성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의어의 예로 ‘다리’가 있다. ‘다리’는 원래 동물이 걸을 때 사용하는 부분을 일컫는 단어이지만, 책상을 받치고 있는 나무도 다리라고 부른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사전에서 동음이의어는 서로 다른 단어로 취급해 표제어로 따로 두지만, 다의어는 하나의 어휘로 취급해 동일 표제어 아래 해설을 두고 있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