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와 수석교사제

2010.09.06 14:12:00

교원평가를 한다고 동료교사를 뽑아서 동료 교사 수업을 참관하여 평가한다고 아우성이다. 베테랑 교사는 동료들 보기 민망해서 서로 눈치를 보다가 신출내기 교사에게 평가를 맡기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자신의 위상에 흠을 얻지 않으려고 하는 면이 역력하게 보이는 것같다.

평가를 한다고 하여 뚜렷한 변화를 아직은 모색하기 어렵다고 하지만 평가가 형식에 치우치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평가를 공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 개개인의 수업을 심도있게 참관해 본다는 면에서는 참으로 바람직한 것이다. 또 교사 자신은 자기의 수업을 뒤돌아 본다는 면에서도 새로운 참신성은 있다. 하지만 그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수업이 진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라면 모르겠지만 형식에 치우치는 평가에 마지 못해 응한다는 이미지를 받고 있다면 그 평가는 유야무야되고 말 것이다.

수석교사제를 왜 도입하려 했는가? 관리자 중심의 평가를 새로운 관점에서 교직 사회를 변화시켜 보자는 의도 아니었는가? 그런데 수석교사제가 승진 정체를 해소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패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진정한 수석교사제를 마련하지 못하는 일회성 수석교사는 그 누구도 반가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수석교사가 수업에 있어 수석의 위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 주는 반면 그에 합당한 자리와 환경을 만들어 준다면 왜 마다할 것인가?
 
지금 교원평가를 한다고 하니 현장에서 보는 교사로서 한숨만 나온다. 수석교사제도 제대로 살리지도 못하고 교원평가도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 일치단결된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어떤 도의 교육감은 교원평가를 한다. 어떤 도의 교육감은 하지 않는다 등등 교원평가의 방향이 제대로 굴러가고 있지 않음을 느낀다.

무엇이 오늘의 교육계에 교원평가를 잘못으로 이끌어가고 있는가? 그것은 정책상의 잘못이 우선적으로 크다고 볼 수 있다. 수석교사제를 위해 많은 예산을 쏟아부어 시행된 제도가 용두사미격으로 되어버리자 그에 대한 대안으로 교원평가제를 들고 나와 교단에 또 한번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어떻게 교원평가를 올바르게 이끌어 갈 것인가? 자꾸만 되물어 볼 수밖에 없는 것같다.

현 시점에서 진정한 교원평가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수석교사제를 먼저 정착시키는 일부터가 급선무다. 수석교사에게 장학에 대한 책임을 확고하게 하도록 하고 교원평가를 교감과 조율하여 평가하는 방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장, 교감, 수석교사가 하는 평가나 교장, 교감, 동료평가 형태가 무엇이 다른가? 후자가 훨씬 복잡하고 형식으로 치우쳐 사문화되고 있는 실정이 아닌가? 그렇지 않으면 많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동료교사 전체가 진정한 평가로 갈 수 있도록 하는 장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허나 큰 학교의 경우 각 과목마다 월별 평가를 한다고 생각해 보라, 일 년 내내 교원평가에 얽매여 진정한 교사 자신의 업무에도 소홀해질 뿐만 아니라 진정한 교원평가도 이루어지지 못해 오히려 교사들로 하여금 불만과 불평을 자아내게 할 것이다.
 
아무리 시대가 변했다 할지라도 진정한 교권의 위상을 지켜 나가고 학생들의 그릇된 사고를 바로 지켜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대학 입학생부터 면접을 더욱 강화시키고 교육대학을 졸업했다고 하여 바로 교단에 들여보낼 것이 아니라 1년간의 수습기관을 거쳐 진정한 교사로 탄생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다시 임용 최종 시험을 거쳐 현장에 내 보낼 때 공립과 사립의 교원에 대한 불만은 없어질 것이다. 현장에서 느끼는 것은 새로운 신임 교사들의 진정한 교육관이 어디에 있는지 그것부터 묻고 싶을 때가 많다. 그들에게 인성의 진정한 교육은 어디에 있으며 참다운 교사의 바른 길은 어디에 있는 지. 한국의 교사상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지 그것이 오늘의 현장 교사들 모두의 과제가 아닌가 싶다.
조기철 인천 초은고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