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멍에는 일과 시간이다. 그 중 교사의 굴레는 교실이다. 아침 출근에서부터 저녁에 귀가하기까지 교실을 벗어난 교사는 존재할 수 없다.
더구나 담임이 되면 교실과 학생과의 관계는 더욱 밀착된다. 그런데 블록타임제 하의 연속 두 시간 수업은 교실에서 교사의 활동을 강화시키고 있다. 쉬는 시간에 교실에 앉아서 학생들과 주저리주저리 이야기하다 보면 학생의 고민과 교사의 고민이 아름답게 봉우리를 맺게 되는 경우도 나타난다. 쉬는 시간은 짧지만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학용품을, 복장을, 눈으로 다리미질 해 보면 변화의 새로움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우선 교사가 교실에 앉아서 학생과 친구처럼 대화를 나누는 그런 시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또 선생님의 의복도 양복에서 평상복으로, 칠판의 백묵도 다양한 형태의 색상으로 변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교복 주름의 각이 변하여 곡선화되고 고급화된 모습이다. 연필도 칼로 깎아서 쓰던 것이 심만 교체하면 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책걸상도 높낮이 형식으로 자유롭게 변화를 보인다.
이처럼 교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모습들이 교사에게는 새로운 고뇌를 만들게 한다. 학생들을 쳐다보고 학생들의 내면을 꿰뚫어 내는 고뇌 없이는 학생의 수업을 원만하게 재미있게 이끌어 나가는데는 한계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수준별 수업을 하는 경우 상반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중반 하반을 이끌어 가는 교사의 내면의 심리는 어떠할까? 잠자는 학생은 잠을 자게 모른 척 해야 할까? 아니면 회초리로 다스려야 할까? 어느 것도 정답이 아니다.
중하반을 이끌어 가는 교재가 특별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교사 자신의 노하우로 과연 중하반의 수업을 원만하게 이끌어 갈 수 있을까? 고뇌는 더욱 깊어만 갈 수밖에 없다. 교실에 앉아서 천정을 쳐다보고, 가을 하늘의 높은 수심을 읽어 가면서 칠판을 또 쳐다보고 잠자는 학생의 뒷모습에 시선을 붙인다. 교실의 고뇌가 깊을수록 교사의 영혼의 샘은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오히려 넘쳐 흘러 내를 이루어 뭇 학생들의 학습 영역을 넓혀 주는 것이다.
갑남을녀의 삶의 고뇌는 가슴의 벽을 갉아 먹지만, 교사의 교실 고뇌는 학생의 마음을 쳐다보는 심령술이 된다. 코미디를 배워서 자는 이를 깨우는 달인이 될 수 있고, 사극의 주인공이 되어 뭇 학생들의 시선을 모으는 배우가 될 수 있고, 탈춤을 배워 교사와 학생이 같이 하는 협동학습을 만들 수 있고, 동영상을 자유자재로 다룰 줄 알아서 현장에서의 따분함을 넘어 먼 나라의 움직임을 순간적으로 전하는 교수법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도 교실에 들어가는 교사의 고뇌의 깊이는 풀리지 않는 미적분 심화 문제를 풀기 위해 다양한 구상을 하듯이, 교직 인생 나이테는 새로운 교구재와 반비례되고 있는 현실을 늘 예의 주시해야 한다. 해를 거듭할수록 변혁과 국제화는 기승을 부리고, 다양한 영역과 MOU체결로 공생공존을 부채질하는 상황에서 교사 본연의 업무는 배우고 가르치는 다변화 모색이 지속되지 않고서는 자신의 존재를 학생들 앞에서 바르게 선보일 수 없는 상황이 오게 될 수 있다는 준엄한 시대적 계고장이 내 책상 앞 PC화면에 시시각각으로 다가오는 것을 느낀다. 때문에 오늘도 교무실에서나 교실에서나 고뇌의 봉우리를 어떻게 아름다운 행복의 꽃으로 피워 볼까 또 고뇌하고 되뇌어 보면서 저 높은 가을 하늘의 푸른 창공을 향해 애드벌룬을 띄워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