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내 고장을 사랑하세요?"

2013.11.19 09:15:00

그럼 그 곳의 아픔까지 살펴보세요

지금껏 수원 토박이임을 자랑해 왔다. 50년 이상을 살아와 수원 속속들이를 어느 정도 안다고 자부해 왔다. 수원을 그 누구보다도 사랑한다고 외쳐왔다. 그런데 오늘은? 부끄럽기 그지 없다. 고개가 숙여진다. 왜? 내 고장 수원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얼마 전 송림초 학부모님들과 함께 수원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장안문화청소년문화의 집 자문위원인 송림초 강영이 교감의 제안에 따른 것이었다. 안내 해설은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김충영 이사장이 맡았다.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오전 9시에 모여 출발이다. 우리가 흔히들 수원화성 공부하면 성곽 한 바퀴 돌고 끝이다. 오늘은 어떠할까? 해설자가 바뀌었다. 수원시 공무원만 34년을 한 분이다. 수원화성 관련분야에서 박사학위 소지자다.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은 문화공간 일파(一坡). 마침 개관기념전 전시물이 그대로 있다. 전시 주제는 ‘행궁마을 사라진 집, 살아난 집’ 수원의 변화모습을 볼 수 있다. 전시공간에서 수원의 역사도 배운다. 수원은 삼한시대 모수국, 백제 고구려시대 매홀, 통일신라시대 수성군, 고려시대 수주, 수원부, 수원군으로 불리었다.

김 이사장은 옛지도를 설명하면서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대해 소리를 높인다. 우리민족의 분열정책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한다. 우리 민족의 단합을 막기 위해 일부러 주위 여러 지역 사람들을 합치게 개편하여 한 목소리를 낼 수 없게 했다는 것이다.


이어 연무대로 향한다. 필자가 초등학교 1학년 때 소풍 오던 곳이다. 평일인데 이 곳을 찾는 학생들이 있다. 졸업앨범을 찍는 중학생들. 그리고 해외에서 온 학생들. 자세히 보니 일본에서 온 학생들이다. 그렇다면 우리 고장이 세계적인 관광지라는 것이다. 물론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 덕분이다.

이 곳에서 활쏘기 체험을 하였다. 시간대에 맞추어 예약을 하면 문화관광해설사의 지도를 받아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 2천원에 화살 10발을 쏠 수 있는데 과녁 맞추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처음인데 10발 중 3, 4발 정도 명중하였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창용문을 지나 지동벽화마을. 바로 성밖마을이다. 여기부터는 마을만들기 담당자였던 기노헌 팀장이 맡았다. 이런 말이 있다. “진정 사랑하면 아픔까지도 사랑한다”고. 지동마을 주민들과 소통하면서 지금의 벽화마을을 가꾼 그다. 벽화 하나하나에 대해 시작과 갈등, 완성에 이르기까지 스토리를 꿰차고 있다.






이 곳 벽화를 통해 작가들도 만난다. 동화작가 윤수천. 그가 수원 지동에 정착한 것은 1975년이니 올해 37년이다. 그가 지은 시, 벽화로 남아 있다. 고은 시인은 올해 10월 최근작을 자필로 써 놓았다. 기 팀장이 말한다. “고은 시인이 노벨상을 타면 이 집값이 무척 오를 겁니다”

지동의 매력에 흠뻑 빠진 일러스트 유순혜 작가는 앞치마를 두르고 벽화 페인트 작업이 한창이다. 그는 벽화 작업 이외에도 수원제일교회 종탑의 노을빛 전망대 및 갤러리 총괄작가다. 그의 명작은 종탑을 오르는 기둥에 ‘수원화성을 만드는 사람들’에 남았다.

수원제일교회 박종각 사무장. 6척 장신에 얼굴이 선하게 생겼다. 이름이 기억하기 쉽다. 일정이 바빠 안내를 못해 죄송하다며 뜨거운 빵을 내어 놓는다. “빵의 맛은 신선도가 좌우합니다” 송림초 학부모들 지동시장 순대국 일정이 바뀌었다. 빵과 김밥으로 점심을 대신한다.

수원 사랑하는 방법은? 수원관광도 마찬가지다. 성곽만 들러보아서는 안 된다. 그것은 수박겉핥기다. 수원의 속살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벽화마을도 둘러보고 수원제일교회 노을빛 전망대도 올라가야 한다. 서민들의 삶의 현장인 전통시장에서 오관을 통해 느껴야 한다. 수원 사랑, 말로만 해서는 안 된다. 수원사랑을 직접 체험해야 한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