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食水)와 식수(植樹)를 구분 못하는 아이

2015.04.13 08:59:00

대학교수로 정년을 한 친구에게 들은 이야기이다.

건강을 위해 아파트 근처 호수가의 산책로를 걷다가 목격했다고 한다.

어느 가족이 산책을 나왔는데 초등학생 아이가 산책로 주위에 ‘기념식수’라고 씌어있는 푯말을 보고 이렇게 말하더라는 것이다.

“이게 왜, 식수야?”

이 아이는 식수(食水) 즉 먹는 물만 식수일줄 알고 있었다. 그러니 이상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교과서에는 한자가 없고 배우지도 안았으니 과연 이 아이의 잘못일까?

그러면 부모라도 식수(植樹)라는 것을 일러주어야 하는데 아무 말도 하지 않더라는 것이다. 부모도 학교 다닐 때 한자를 배우지 않은 세대라서 식수(食水)와 식수(植樹)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것일까? 옆을 지나던 교수는 이 광경을 보고 너무나 답답하여 자기가 나서서 가르쳐주고 싶은 마음이 일어났지만 그 가족의 가장이 아이들 앞에서 무시당하는 상황을 염려하여 참았다고 한다.

이것이 우리나라 국어교육의 현주소이다. 너무 답답하여 한자교육운동을 하고 있는 필자에게 한탄 섞인 말로 토로하는 것이다. 한글전용이라는 잘못된 어문정책이 자라는 2세들에게 40여 년 간이나 올바른 국어교육을 시키지 못하여 글을 읽을 줄은 알면서 그 뜻을 정확히 모르는 안타까움이 남아 있다.

문맹자의 기준은 문자를 읽을 수 있어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면 문맹인 것이다. 식수(食水)와 식수(植樹)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아이의 잘못일까? 한글전용정책을 펴고 있는 정부의 잘못일까?

지난 해 9월 교육부에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겠다는 발표가 있었다.

최근에 한자병기를 반대하는 잘못된 여론이 있는데 한자병기의 당위성과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첫째, 우리의 유전자에는 한자문화가 언어생활 속에 깊이 내재되어 있다. 한자는 우리조상이 오랜 세월 만들어 사용해온 뜻글자이다. 조상의 얼이 담겨있는 한글과 한자를 조화 있게 가르쳐야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약 2/3가 한자어인데 한글로만 표기하는 것은 뜻을 모르고 읽기만 하는 둔재(鈍才)로 키우는 어리석음이다.

둘째, 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를 병기(倂記)해 주면 독해력(讀解力)이 크게 향상된다. 어린이들은 그림처럼 직관적으로 인지되는 상형문자를 익혀서 문자의 뜻을 알면 언어생활에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사고력을 증진시켜서 작문실력이 어마어마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과외가 판을 칠 것이며 학생들에게 또 다른 부담을 안겨줄 것이라는 우려는 기우(杞憂)에 지나지 않는다. 전과 달라지는 것은 한자병기로 어휘의 이해를 도와주기 때문에 옥편을 찾아 배우게 하면 될 것이다.

일자다의(一字多義)의 의미를 지닌 낱말의 뜻을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는 한자병기를 실시하면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에 한자병기는 시급하고 바람직한 어문정책이라고 생각 한다.
이찬재 (전)충주 달천초등학교 교장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