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드롬 일으킨 전작제 드라마 '태양의 후예'

2016.04.18 09:06:00

41부작 ‘장사의 신-2015객주’ 후속으로 방송된 KBS 공사창립특별기획 ‘태양의 후예’가 4월 14일 종영됐다. 16부작 미니시리즈이지만 제작비 130억 원이 투입된 터라 대작 드라마라 할 수 있다. 영화가 그렇듯 드라마도 100억 원 이상 투입된 작품이면 보통 그렇게 말한다.

급은 뭐, 그렇다치고 ‘태양의 후예’는 드라마의 역사를 새로 썼다는 평가가 나올 만큼 신드롬을 일으켰다. 우선 사전제작의 전작제 드라마로 성공한 점이 그렇다. 성공의 바로미터는 응당 화끈한 시청률이다. 2월 24일 첫 방송은 전국 시청률 14.3%로 시작했지만, 3회 만에 23.4%로 급상승했다.

30%를 넘긴 것은 9회부터다. 밤 10시대 주중 미니시리즈가 시청률 30%를 넘긴 것은 2012년 MBC TV ‘해를 품은 달’ 이후 4년 만이다. KBS로선 2010년 ‘제빵왕 김탁구’(최고 시청률 30회 49.3%)이후 6년 만의 ‘쾌거’이다. 두 자릿수 시청률만 기록해도 성공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니 그야말로 대박이 난 것이다.

15회는 34.8%, 1분 최고 시청률은 수도권 기준 42.5%까지 치솟은 것으로 조사됐다. 총선 개표방송을 한 지상파 3사의 시청률을 합한 23.2%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마지막 회 시청률은 38.8%였다. 전국 시청률이 그렇고 서울은 44.2%까지 치솟기도 했다.

높은 시청률과 함께 중국 동시 방송이 신드롬의 주역이기도 하다. 조선일보(2016.4.15.)에 따르면 중국에서 ‘태양의 후예’를 독점 방송하는 동영상 사이트 ‘아이치이’의 누적 조회 수는 4월 14일 기준 25억회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아이치이에서 ‘태양의 후예’를 보려면 약 3만 5천원의 VIP 회원권을 사야 한단다.

‘태양의 후예’가 중국은 물론 일본・미국・영국・러시아 등 세계 32개 국에 판매되며 새로운 한류 드라마가 된 데에는 제작사 ‘뉴’가 있다. 영화제작사인 뉴는 2014년 중국 화책미디어로부터 53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130억 원이란 막대한 제작비를 쏟아부을 수 있었던 배경이다. 그 뉴가 드라마로 처음 선보인 작품이 바로 ‘태양의 후예’이고, 신드롬을 일으켰다.

당장 하반기에 수지・김우빈 주연의 KBS ‘함부로 애틋하게’, 이영애 주연의 SBS ‘사임당, 허스토리’ 등 전작제 드라마들이 줄줄이 선보일 예정이다. 하나의 정착단계로 굳어질지는 더 지켜볼 일이지만, 쪽대본・밤샘촬영・당일 편집 따위 지금의 드라마 제작 시스템에 경종을 울린 건 사실이다. ‘전작제 드라마는 필패’라는 인식을 깨뜨린 일등공신인 셈이다.

그렇다면 드라마는 어떤가. ‘재난멜로’라니, 한 마디로 말 안 되는 조합이지만 재미있는 드라마이긴 하다. 특전사 대위 유시진(송중기)과 혜성병원 의사 강모연(송혜교)의 사랑 맺어지기에 많은 것들이 입혀져 있다. 가상 국가 우르크에서의 지진, 전염병 감염, 인질 구출 등에 또 다른 커플 서대영(진구)과 윤명주(김지원)의 사랑싸움, 그리고 두 남자 주인공간 진한 우정이 그것이다.

그것들은 톡톡 튀는 대사와 넘치는 유머들로 인해 재미있게 와닿는다. 서로에게 질투를 유발하는 것들이 유치찬란해 보여도, 지진 등 재난 구조타임에 쉬임 없이 벌어지는 연애질도, 심지어 지뢰 밟은 와중에도 진지하고 심각한 위기감 대신 농담 따먹기나 장난기가 발동하곤 한다.

그 지점에 송중기・송혜교의 극중 캐릭터에 녹아든 연기가 있다. 송중기는그런 군인(남자)이 있을까싶게 여자 팬들에게 판타지를 불러 일으킨다. 송혜교는 그 미모가 더해져 뭇남성들에게 어필한다. 진구와 김지원 역시 그들 못지 않다. 특히 윤명주 중위가 쓰는 존대체 말투가 매력 만점으로 들린다. 그 오로지하는 남자에 대한 무한 사랑이 더해짐은 물론이다.

국기 하강식이라든가 조국관 등 영화 ‘국제시장’을 떠올리게 하지만, 비판적 메시지가 제법 있는 등 균제미를 갖춘 것도 이 드라마의 강점이다. 가령 “어느 나라나 경찰은 돈 쓰는 자의 편이지”라든가 “의사는 재력, 그 다음이 체력” 등 은근슬쩍 잘못된 사회상을 꼬집는 맛이 특기할만한 것.

다만, 너무 ‘친의사적’ 묘사는 거슬려 보인다. 강모연은 지진 현장에서 환자 살리지 못한 것에 대해 고뇌와 눈물까지 흘리고 있다. 이치훈(온유)은 지진현장에서 생존자를 처음 발견하고도 그냥 와버린 괴로움에 만삭 아내의 전화까지 받지 않고 있다. 인간적인 의사들도 있겠지만, 왠지 썩 와닿지는 않는다.

황당함의 극치는 죽었다 살아나기이다. 15회에서 죽은 유시진과 서대영이 기일을 맞아 알바니아와 우르크에 가있던 강모연과 윤명주에게 각각 귀환한 것이다. 해피엔딩이 주인공 죽음보다 낫긴 하지만, 현대극에서 죽음이 애들 장난처럼 그려져 좀 아니지 싶다.

30억 원쯤 벌었다는 PPL(간접광고)의 몰입방해도 그렇지만, 대통령의 일개 중장에게 꾸벅 절하기도 황당하긴 마찬가지다. 특전사령관(강신일)은 청와대 지시 어겨가며 인질구출을 명령한다. 책임지겠다고 ‘먹어대는’ 장면에서 콧등이 시큰해질망정 황당하기는 이하동문이다.
장세진 전 교사, 문학⋅방송⋅영화평론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