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퇴직으로 교단을 떠난 지 두 달이 되었다. 떠났으니 이제 그만이란 생각으로 살려 하지만, 전북교육청이 최근 발표한 ‘2016학생생활교육계획’(이하 계획)을 대하니 지난 날 교직에 섰을 때의 ‘악몽’이 선연히 떠오르는 걸 어찌 할 수 없다. 정든 교단을 2년이나 앞서 굳이 떠나야 했던 그 악몽 말이다.
계획의 핵심은 상벌점제(그린 마일리지) 폐지다. 2009년 도입된 상벌점제가 관련 예산 지원 중단으로 폐지된 것. 2014년 취임 일성으로 벌점제 폐지방침을 밝힌 경기도 교육청 이재정 교육감은 “바람직한 교육은 학생들이 좋은 일을 할 수 있게 알려주고 권장하는 것이지, 벌점제처럼 어떤 틀을 정해놓고 그것에 어긋나면 벌을 주는 것이 아니다”는 논리를 폈다.
얼핏 그럴 듯해 보이지만, 이상론일 뿐이다. 아니면 학교나 학생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행정이랄 수 있다. 한국교총은 보도 자료를 통해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인권조례와 체벌금지로 가뜩이나 문제행동 학생을 제재할 수단이 없는 현실에서 벌점제까지 폐지하면 학생지도가 굉장히 어려워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렇다면 당신이 근무하는 학교의 학생들은 어떠한가? 내가 겪은 현실은 이렇다. 가령 1교시 중에 등교하는 학생은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출석을 부르는데도 대답할 짬 없이 잠만 퍼 자는 학생들이 넘쳐난다. 수업 중 교실은 잡담이 무성한, 한 마디로 카페 같은 분위기다.
일부 특성화고의 수업시간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일부 인문계고등학교 분위기도 만만치 않다. 수업시간인데 어린이집 아이들도 아닌 고교생들이 교실을 돌아다니고 만리장성을 쌓기 일쑤다. 어떤 50대 중반 교사는 벌점을 매겨가며 가까스로 면학 분위기를 잡는다며 고충을 토로해왔다.
그 벌점제마저 폐지되면 아직 젊은 교사들이야 고통스러워도 목구멍이 포도청이니 그런 현실을 받아들이며 버틸 수밖에 없겠지만, 50대 중반의 교사들은 명퇴에 대한 유혹을 떨쳐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교사들을 명퇴로 내모는 ‘2016학생생활교육계획’이라 할 수 있다.
거기엔 소위 진보교육감들이 그런 실상을 아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또 다른 중요한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공부하려는 학생들이 오히려 기죽어야 하고 눈치 보는 교실 분위기를 어떻게 해볼 수 없어 ‘그래. 이참에 나가버리자’란 생각을 행동으로 옮길 교사가 부지기수일 것이란 점이다.
단적인 예를 들어보자. 수업시간에 자기만 하는 어떤 학생이 교사에게 대든다. 어이없게도 곤히 자는 걸 깨웠다는 이유에서다. 체벌도 할 수 없고, 벌점을 들이밀 수조차 없다. 학생이 계속 대드는데도 교사는 공자나 맹자처럼 마냥 점잖고 다정한 목소리로 ‘좋은 일을 할 수 있게 알려주고 권장’만 하란 말이 된다. 도대체 말인지 막걸리인지 모를 소리다.
학생인권조례에 충실하고 벌점제를 없애려면 우선 학교 시스템과 환경부터 바뀌어야 한다. 선진국 고교처럼 성인 같은 헤어스타일의 자유 복장에 남녀 학생이 학교에서 키스정도는 가볍거나 자연스럽게 하는 그런 분위기라면 벌점제 따위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장기적으로 벌점제 폐지가 맞지만, 지금 당장은 아닌 것이다.
도대체 떠들거나 잠 자는 학생들에게 체벌은커녕 벌점이나 복도로 내보내기 등 교사들이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게 하는 교육감들은 어느 나라 사람인지 알 수 없다. 학생 인권 침해 타령으로 정작 학교는 더 무너져내리고 있는 줄 아는지 묻고 싶다.
그럴망정 나는 학생들에게 벌점을 부과한 적이 없다. 문예 등 맡은 업무가 있어 상점은 많이 줬지만, 벌점은 그냥 말로만 해왔다. 그것도 나름 효과 만점이다. 그만큼 벌점제는 그 자체만으로도 학생들의 의식과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교육기재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