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교감선생님, 이제 한 학기도 다음 주에는 막을 내리게 되겠군요. 시간이 흐를수록 아이들의 모습이 달라지면서 학교가 힘들어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정말 그럴까?" 생각에 잠기곤 합니다.
한 학기를 마감하면서 학교가 내면적으로 어떤 변화를 이뤘는가 좀 쉽게 기준을 규정하여 봅니다. 그 첫째가 '학교가 얼마나 안전하였는가?'입니다. 조그만 학생 사고라도 발생하였다면 정말 아이들은 불안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만일 학생들 사이에 교사들이 모르게 일어나는 다양한 폭력으로 인하여 조금이라도 심리적으로 불편을 느꼈다면 결코 행복한 학교 생활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학기를 마감하면서 학생들의 의견을 들을 때 안전에 대한 관점을 꼭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는 '학교가 즐거웠는가?'입니다. 극소수이긴 하지만 몇 개 학교에서는 교장 선생님이나 선생님들이 아침 등교 시간부터 등교하는 학생들을 살피면서 즐거운 학교생활 하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학생맞이를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때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어두운 얼굴을 하는 학생도 있고 즐거운 모습으로 등교하는 학생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시간에는 역시 가정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가에 따라 그 모습이 얼굴에 나타나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오후 학교생활을 마치고 돌아갈 때는 학교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에 따라 그 모습이 다르게 만들어질 것 입니다. 맛있는 급식, 선생님으로부터의 격려, 자신의 의미있는 학업성취, 친구와의 좋은 관계에서 느끼는 기쁨 등 종합적인 것들이 표출되리라 생각합니다.
세 번째는 '오늘 학교에서 배움이 일어났는가?'입니다. 학습은 관찰에서 시작됩니다. 그러기에 부정적인 것보다는 긍적적인 것을, 어두운 것보다는 밝은 것을 보고 자신의 마음 속에 배움이 일어나려면 눈이 호기심으로 가득하고 즐거워야 합니다. 눈이 즐거우려면 좋은 경치와 아름다운 꽃을 봐야 하는데 깨끗한 배움터를 위하여 청소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학교와 주변에 좋은 꽃과 나무들이 있어 한 번이라도 이런 것들과 대화를 나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학생은 나의 이야기를 듣고 수업 시간에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게 되어 수업이 즐겁게 되었다고 메일로 보내왔습니다. 오늘 배움을 통하여 한 가지라도 깨닫게 되고, 그것이 배움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의미있는 배움이 일어나지 않았는가 생각됩니다.
학교에서는 역시 학습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인간이 변하는 것은 교사가 가르친 학습만을 통하여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정말 다양한 상황에서 아이들은 배우게 되는 것을 알게 됩니다. 경주마처럼 오직 앞만 보고 경주마처럼 달리면 발전이 없을 것입니다. 아이들은 단 한 시간만이라도 즐거운 학습을 하였다면 학교에 와서 배운 의미를 느낄 것 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역시 교사들이 깨어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선생님들도 아이들을 통하여 어떤 의미있는 만남이 있었는가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입니다.
교육을 제대로 시켜야 가정이 살아나고, 기업이 힘을 얻게 될 것이며 나라의 기본을 세울 수 있습니다. 그래도 저는 어제보다 오늘, 그리고 내일을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대안으로 교육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한국의 마지막 선택은 교육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