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도 '도서관 친구들' 만들고 싶어요"

2010.02.01 09:00:00

“새로 도서관이 생기면 도서관을 만들어주셔서 너무 감사하다고 인사를 다니고 싶어요.”(웃음) 도서관 이야기만 나오면 표정이 절로 밝아진다. 도서관에 앉아 그저 책만 펼쳐 읽어도 너무 행복하다는 여희숙 서울 광진구 도서관 친구들 대표(서울 강남구립일원청소년독서실 관장). ‘책 읽어주는 사람’이라고 적혀 있는 명함만 봐도 그의 책 사랑, 도서관 사랑은 짐작할 만하다. 20여 년간 초등학교 교사였다가 <책 읽는 교실>, <토론하는 교실>을 쓴 작가이자 독서 · 토론교육 전문 강사로, 2005년부터는 ‘도서관 친구들’로 도서관 운동에 뛰어든 여희숙 대표를 만났다. 도서관 친구들은 주민들이 도서관 운영에 관심을 갖고 도서관을 돕기 위해 만든 자발적인 모임으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여 대표가 모임을 결성했다. 그는 “도서관 친구들은 순수하게 우리의 좋은 도서관들을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면서 “학교에 ‘도서관 친구들’을 만들어서 학교 도서관 운영에도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도서관을 너무 사랑해서 나서게 된 일

‘도서관 친구들’ 운동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셨나요?
“도서관 운동은 잘 몰랐어요. 서울에 올라오면서 중학생이었던 아이의 학교에 도서관이 생긴다고 해서 학부모 몇 명이 모여 도서관을 도와주자고 한 게 시작이 됐죠. 그렇지만 아이가 졸업할 때쯤에서야 학교 도서관이 생겼고, 저희는 관심은 자연스럽게 인근 광진정보도서관으로 옮겨가서 ‘도서관에 힘이 되는 사람들’(도힘사)이라는 모임을 만들게 됐어요. 우리가 사랑하는, 너무 멋진 광진정보도서관을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데 힘을 보태자는 의미에서 시작했습니다.”

어떻게 도서관 친구들로 발전했습니까?
“도서관에 힘을 보태는 봉사활동만 하다가 우리도 발전할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해보자는데 의견이 모아졌어요. 책 읽고 토론하고, 회원들이 자기분야에 대해 특강을 해주거나 초청강사를 불러 특강을 들었습니다. 그때 특강을 오셨던 명지대 김명석 교수님께서 외국에 도서관 친구들이라는 활동이 있는데 외국보다 훨씬 더 도서관 친구들 정신에 맞는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씀해주셔서 알게 됐어요. 영국은 100년 전에 이미 도서관 친구들이 생겼고, 미국은 도서관 친구 회원이 100만 명이 넘는다고 해요. 교수님께서 소규모 모임만 하지 말고 여러 사람들에게 도서관 친구들의 좋은 활동을 알리고 참여시키라고 조언해주셨고, 지금의 도서관 친구들이 있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

도서관 친구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나요?
“전 세계적으로 도서관 친구들의 활동을 같습니다. 첫째, 기금을 모아요. 시민단체 중에서도 반드시 회비를 내야 하는 시민단체죠. 도서관 프로그램 강사비 지원부터 책 기증까지 도서관에 필요한 일들을 지원합니다. 두 번째는 자원봉사입니다. 청소부터 서가 정리, 안내 등 도서관이 필요로 하는 모든 일을 해요. 청소년 독서교실 등 도서관 프로그램 운영을 도와주기도 하고, 책 읽어주기를 요청하면 그 활동을 해주는 식이죠. 세 번째는 홍보활동을 합니다. 도서관이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들을 운영해도 참여자가 없다면 소용이 없죠. 작게는 이웃에 행사를 전화로 알리는 것부터 전단을 붙이고 나눠주는 일까지 때에 따라 모든 홍보활동을 함께합니다. 네 번째는 우리에게는 생소한 로비활동이에요. 구립도서관 운영을 맡고 있는 구의회에 지역 주민으로서 도서관에 대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선거 때에는 각 후보들에게 도서관 관련 정책 제안도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도서관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죠. 마지막은 지역주민과의 연계활동입니다. 다른 단체들과 함께 모여서 도서관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일이죠.”

현재 몇 개의 모임이 있습니까?
“저희의 활동들이 알려지면서 도봉도서관, 대구성서도서관, 보령햇살도서관 등 전국에 12개의 도서관 친구들이 만들어져서 2000여 명이 활동하고 있어요. 1년에 100 ~ 200명씩 후원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광진 도서관 친구들의 경우 17명으로 시작해 회원이 650명이 됐고 전국 각지에서도 후원금이 오고 있어요. 광진정보도서관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이분들은 순전히 도서관 친구들의 활동이 좋아 후원하시는 분들입니다.”

“만 5년, 도서관이 바뀌고 있어요
만 5년 동안 도서관친구들 활동을 하셨는데 도서관이 바뀌는 게 느껴지시나요?
“지난해부터는 ‘정말 달라졌구나’ 하고 느끼고 있어요. 신종플루가 기승을 부릴 때 연 성인 인문학 강좌가 별다른 홍보를 하지 않았는데도 20명 모집에 40명이 몰려들었고, 강좌의 분위기도 너무 좋아서 다른 도서관 관계자들이 깜짝 놀랐죠. 2005년 활동 초기만 해도 이런 일은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 그만큼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잘 알려졌다는 것이죠.”

도서관 친구들이 바라는 도서관의 모습이 있을 것 같습니다.
“책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에 나오는 뉴욕 공공도서관 같은, 뉴요커들이 공공도서관 때문에 다른 시로 이사를 못 한다고 할 정도의 환상적인 시스템과 서비스를 갖춘 도서관을 우리도 가져보는 것이 꿈이에요. 아이들이 숙제하다가 부족한 게 있으면 사교육 시장이 아니라 그것을 해결해 줄 숙제도우미가 있는 도서관을 찾아가는 문화, 살아가면서 불편하다거나 새로운 것을 알고 싶을 때 제일 처음 도서관을 떠올리는 그런 도서관을 만들고 싶어요. 9 · 11 테러가 일어났을 때 뉴욕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고 활용한 곳이 뉴욕의 공공도서관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해결책을 찾고자 할 때, 모든 정보가 도서관에 있기 때문이죠. 또 도서관이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을 도와주겠다는, 그런 서비스가 공공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도 충격적이었습니다. 하루를 2달러로 연명해도 정기적으로 열리는 도서관의 전시회를 보고 문화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그들의 도서관이 너무 부러워요. 도서관 친구들을 계속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된 동기이고, 꿈이 됐습니다.”

아이러니 하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우리의 공공도서관을 그런 꿈의 도서관으로 만들려면 도서관 친구들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는 말씀이기도 하네요.
“그렇다고 볼 수 있죠. 우리는 도서관 인프라가 갖추어 지지 않았기 때문에 도서관 친구들의 역할이 필요합니다. 영국, 미국은 도서관 친구들의 활동이 미미해요. 도서관 친구들의 적극적인 봉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만큼 도서관이 충분한 재정과 안정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뜻이죠. 언제까지 이런 활동을 하느냐고 묻는다면 저희는 ‘도서관 친구들이 필요 없을 때까지 할 것이다’라고 해요. 하지만 언제까지나 도서관 친구들은 필요할 것 같아요. 좋게 만들어도 더 좋은 도서관, 더 좋은 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꿈의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인식을 바꿔야 하는 문제도 남아있습니다.
“도서관 문화는 발전하고 있어요. 지금 학교에서 교육받는 아이들은 기성세대와는 좀 다릅니다. 학교도서관을 자연스럽게 이용하는 습관들을 들이며 자라기 때문에 앞으로 점점 좋아질 것이에요. 또, 도서관 친구들 활동 역사가 영국은 100년인데 비해 우리는 이제 5년이에요. 할 수 있는 만큼 해나가다 보면 국민들의 저력을 볼 때 우리가 바라는 그런 도서관 문화를 만들 수 있는 기간을 20년으로도 단축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학교에도 도서관 친구들이 생겼다고 들었습니다.
“서울 신묵초등학교에 도서관 친구들이 운영되고 있죠. 학부모들이 주축이 돼서 아이들의 독서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도서관을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모든 활동을 함께 도와줍니다. 아이가 그 학교를 졸업해도 (학부모)도서관 친구들은 남아서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한다는 것이 특징이에요.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해서 다른 학교에도 ‘도서관 친구들’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학교도서관을 더 잘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은 정말 가치 있는 일이에요.”

독서 · 토론 전문가이시기도 한데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요?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려면 우리 독서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합니다.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해야 해요.”

어떻게 하면 책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길까요?
“우선 좋은 독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다음은 책 읽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 독서교육이 뒷받침돼야 하죠. 선생님들께서 실천하기 쉬운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아침독서’인데 작지만 굉장히 효과적인 교육방법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원칙들이 있어요. 날마다 읽고, 읽고 싶은 것을 읽고, 모두 함께 읽고, 그냥 읽기만 하게 해야 합니다. 여기에 우리 독서교육의 맹점을 극복할 모든 것이 들어 있습니다. 특히 ‘모두 함께 책읽기’는 사교육은 절대 따라 할 수 없는 우리 학교교육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이고 아주 중요합니다. 책읽기 교육이 꼭 필요한 아이들, 필요 없는 아이들 모두가 함께 읽어야 한다는 거에요. 함께 읽어야 아주 잘하는 아이들이 아주 못하는 아이들과 함께 가게 되거든요. 그다음엔 독후감을 써라, 퀴즈대회를 한다 하지 말고 그냥 제발 읽기만 했으면 좋겠어요. 이 원칙만 잘 지킨다면 아침독서 10분만으로도 책을 좋아하는 아이들로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1학년부터 6학년까지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정말 그것보다 좋은 독서교육이 없죠. 또 선생님들이 독서클럽을 만들어서 활동하셨으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도와드리고 싶습니다.”
이상미 월간 새교육 기자 smlee24@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