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년 교단의 결실, 책으로 펴낸 김준기 선생님

2012.06.01 09:00:00

팔팔한 청년 때부터 40여 년간 교단에서 고민하고 연구하고 또 덤벼들었던 문제들과 또 숱한 밤을 지새우면서 찾아낸 해결책들을 한데 엮어 <열정적인 교사의 수업의 기술>이라는 책을 펴낸 김준기 선생님. 교사를 천직으로 생각했던 그는 정년퇴임을 한 지금도 대학과 교육기관 등에서 수많은 러브콜을 받으며 수업기술, 교육컨설팅, 리더십, 인간관계론 등을 강의하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인터뷰 내내 그가 강조했던 단어 “열정”, 과연 그가 들려주는 이야기에서도 열정적인 삶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패기와 열정으로 덤벼들었던 교직생활

김준기 선생님이 교직에 발을 들여 놓은 건 열 살 위 형님의 권유 덕분이었다. 강원도 토박이인 그는 춘천교대를 졸업하고 1965년 3월 속초시에 있는 영랑초등학교에서 처음으로 교사생활을 시작했다. 월남한 피난민들을 비롯해 열악했던 환경에서 처음 학급 담임을 맡았는데 1학기에 75명이었던 학생수가 2학기가 되면서는 92명까지 늘었다. 책상과 의자를 놓을 자리가 없어서 바닥에 앉아 수업을 받아야 하는 학생들이 많았지만 누구 하나 불평하는 이가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그가 가장 고민했던 것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는 수업과 학급 운영이었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정규 수업이 끝나면 부진학생과 특기학생을 구분해 보충수업을 하면서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이끌었다. 그러다보니 소문이 나면서 “우리 아들 딸, 중학교 좀 보내주세요”하면서 찾아와 부탁하는 학부모들도 생겨났다. 성적은 한참 부족했지만 점차 공부에 열의를 보이는 당신의 아들, 딸 모습에 부모도 감동을 받았던 것. 결국 방학도 반납하고 급하게 중학교 입시반을 만들어 집중적으로 공부를 시켜 8명 중 7명을 합격시키는 쾌거를 이뤘다.

혼자만 알기 아까운 ‘수업의 기술’
교직생활 전체를 통해서 그가 가장 우선시했던 것은 탐구학습과 실험실습 중심의 수업이었다. ‘들은 것은 잊고, 본 것은 기억하며, 행한 것은 익힌다’는 생각은 학습지도에 있어서 그의 좌우명이었다. 그래서 학생들 스스로 발표하게 하고, 만들게 하고, 활동을 통해 몸으로 익힐 수 있도록 열심히 가르쳤다. 일명 소집단 토의학습법으로 정의할 수 있는 그의 교수법은 많은 학생들을 변화시켰다.
당시 상당히 내성적이고 친구도 사귀지 못했던 6학년 최영은 학생은 토의학습법을 통해 조금씩 말문이 트이면서 발표력은 물론 자신감도 생겼고, 친구들과도 어울리면서 성격까지 바뀌었다.
“처음 만났을 때는 학습 부진아였어요. 그런데 이 녀석이 점점 글쓰기에 관심을 가지면서 작가가 되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맞춤법, 문법 다 틀리고 엉망이었지만 인생의 목표, 꿈을 발견했다니까 너무 대견해서 격려해줬어요. 영은이도 훌륭한 작가가 될 수 있다고, 유명한 소설가가 돼 보라고. 그때 한 이야기 때문일까요? 영은이가 지금은 출판사에 들어가서 책 만드는 일을 하고 있어요. 교사의 말 한마디가 얼마나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이제 돌아봐도 놀라워요.”
그는 소집단 토의학습에서 단위 학습의 진행을 맡고, 2~8명의 학생들을 그룹지어 주어진 문제를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왔다. 버즈학습, 브레인스토밍, 직소학습 중에서 주로 직소학습 형태를 많이 활용하고 주어진 문제를 다양하게 사고하면서 토의, 토론을 거쳐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지도했다. 덕분에 학습의 질과 양을 폭넓게 심화시킬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보면 학생들의 인성과 창의적 사고능력까지 동시에 계발되는 학습법이었고 또 획일화된 수업에서 탈피해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면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수업, 암기위주의 수업보다 자기표현에 비중을 둔 수업이었다.

‘교육’답게 ‘교육’합시다!
40년간 교직생활을 하다 보니 위기의 순간도 적잖이 찾아왔다. 문제는 교육에 대한 남다른 열정과 패기, 그리고 원칙을 고수하는 대쪽 같은 성격 때문이었다. 남들이라면 그저 한번 웃고 넘어갈 수 있는 일이 그에게는 용납되지 않았다.
1970년대 교육청에서 기초학력검사를 실시할 때의 일이다. 당시 그가 맡고 있던 학급은 평균 정도의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그런데 기초학력검사를 본 결과 42명 전원이 100점을 맞은 것이 아닌가. 이상해서 군기를 잡고 물어봤더니 다른 학교에서 온 선생이 시험 감독을 허술하게 하는 틈을 타 머리 좋은 학생들이 당시 반에 있던 장애우 학생의 답지를 대신 써줬다는 게 아닌가. 결국 우수 학급 표창을 받기 위해 시상식에 가서 상을 받고 내려오는데 밀려오는 자괴감에 그만 그 자리에서 표창장을 찢어버렸다. 당연히 교장, 장학사의 호출을 받아 교육청까지 불려 들어갔다. 표창장을 찢은 이유를 묻자 그는 “내 양심상 못 받겠습니다. 우리 교육답게 교육합시다”라고 대답했다. 그런 배짱으로 어떻게 선생을 하느냐며 욕을 먹어야했지만 덕분에 ‘잘 가르치기 보다는 바르게 가르쳐야 되겠다’는 결심을 굳힌 계기도 됐다. 그는 요즘과 같이 혼란스러운 시대일수록 교사가 바로 서야한다고 강조한다.
“학교가 존재하는 한 세상을 불안하게 하는 교육 이슈들은 계속될 것입니다. 교권이 실종되고, 교실이 붕괴하였다고 금방 학교가 없어질 것처럼 소란을 피웁니다. 그러나 오늘도 우리나라의 학교는 건재하고 청소년들은 해맑은 웃음으로 씩씩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일부 극소수의 잘못된 학생들과 그들의 일탈을 막지 못한 교사들의 책임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일반화해서는 안 됩니다. 그보다는 묵묵히 자신의 일을 감당하는 교사들이 훨씬 많기 때문입니다.”

실력으로 채우고 열정으로 가르치는 교사
더불어 교사들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으면서 이 시대의 교육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두 가지가 있다고 말한다.
“요즘 살아남기가 너무 힘드니까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일삼는 교사들도 많습니다. 그러면 안 되거든요. 교사는 가르치는 사람이지만 또한 배워야 하는 사람이죠. 안주하지 말고 솔선수범하면서 자기 실력, 전문성을 끊임없이 계발해야 합니다. 또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동적, 방관적 태도를 버리고 열정적인 자세로 자신의 위치에서 변화의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 두 가지를 갖추고 열정적으로 가르친다면 학교 안팎으로 거론되는 많은 문제들 중 소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해결될 것입니다.”
그는 처음 교단에 설 때의 설렘과 열정은 모두 잃어버리고 매너리즘에 빠져 있는 교사들, 학생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고민하지 않는 교사들 때문에 교권이 무너진 것이라고 말하면서 교사의 태도가 바뀌면 학교도 바뀔 것이라고 확신한다. 스스로 뜨거워지지 않고 불을 지필 수 있는 장작은 없다. 같은 맥락에서 교사 스스로 뼈를 깎는 노력과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학생들의 태도와 학교가 변화될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현재 두 번째 책을 집필중이다. 첫 번째가 교사를 위한 책이었다면 준비 중인 책은 평소 알고 지내던 5곳의 초등학교 교장에게서 추천받은 30여 명의 학부모들과 나눈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 시대 학부모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담을 예정이다.
“<벽암록>에는 줄탁동시(啐啄同時)라는 말이 나옵니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을 깨고 나오려는 이를 학생이라고 할 때 교사는 밖에서 함께 쪼아주는 사람입니다. 즉, 가르침과 배움이 줄탁동시의 과정이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한 판의 춤입니다. 온 마음을 다해 준비해야 멋진 춤이 완성되듯 열정을 다한 가르침과 배움에서 멋진 인생이 탄생합니다.” 그의 말처럼 교사와 학생이 이뤄낼 멋진 조화가 우리 학교문화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길 기대하게 된다.
서지영 기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