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사회는 한국사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여러 가지 강화 방안을 마련하느라 부산하다. 이런 여러 방안이 수업 현장에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문학으로서 한국사 교육의 필요성은 새삼 거론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여기서는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과 배움의 주체인 청소년들의 한국사에 대한 무관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한국사 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한국사 교육에 대한 현장의 문제점을 들자면 첫째, 정부의 교육 정책에 대한 혼선이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 교육의 화두는 ‘글로벌 인재 양성 교육’과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교육’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일반 사회와 교육 현장에서의 인식은 전자의 경우 영어를 위시한 외국어를 잘하는 사람을 양성하는 것으로, 후자는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이 아니라 수리와 과학의 융합 교육으로 인식돼 진행되고 있는 형국이다. 이것이 사회과목에 대한 무관심을 부채질하고 있다.
‘오락가락’ 교육과정, 무관심 부추겨
현재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각 교과목에 대해 균등하게 편성돼 있지만 실제 운영은 각급 학교의 성격과 관리자 의도에 따라 국어, 영어, 수학 중심으로 편성해 운영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정책도 전국적으로 과학중점학교는 다수 있어도 사회중점학교는 없다. 이러한 사회교과의 홀대 속에 지금의 한국사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경제 발전으로 인한 풍요로움 속에서 기성세대의 한국사에 대한 인식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한국사에 대한 역사 인식이 달라 한국사 교육 방향의 혼란은 계속돼 왔다. 한국사 교육이 중심을 잡지 못한 결과가 현재 청소년들의 한국사 무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금 내가 물질적으로 부족함 없이 잘살고 있으면 됐지 수업시간에 굳이 한국사를 배워야 하는지 반문하는 학생들이 점차 많아지는 것이 현실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