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으로 배운다

2017.01.27 18:48:04

핀란드 교실 혁명


설날 즈음 빈 교무실에서 지난 해 저의 삶을 돌아봤습니다. 너무 바쁜 해였습니다. 공부와 글쓰기를 겸한 3학년 담임교사로 살아가는 일이 힘들었습니다. 만족한 수업을 하지 못한 자신이 부끄러웠고, 자신만만하게 멋진 담임이 되리라는 저의 어리석은 자만심이 미안했습니다. 책읽기를 즐겁게 만들겠다고 기세 좋게 시작한 독서프로그램은 그다지 효과적으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방학 중 학교는 조용하기만 합니다. 책꽂이 반쯤 읽고 꽂아 둔 책이 보입니다. 일본의 핀란드 교육전문가인 후쿠타 세이지 교수의 핀란드 교육 리포트 '핀란드 교실 혁명'입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핀란드의 교육은 소박하지만 타인과 비교하지 않고, 시험도 없고, 경쟁도 없는 이상적인 이야기입니다. 시험 스트레스와 입시 지옥에서 학교를 다니고, 학교는 가고 싶지 않은 곳이 아니라 핀란드의 학생들은 공부가 재미있고,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신을 위해 스스로 공부하는 곳이라고 합니다. 핀란드의 경우 철저하게 학생의 개개인의 발달을 보고 단 한 사람의 낙제생을 만들지 않는 것이 교육 관계자의 입장이라고 합니다. 핀란드의 교실을 들여다 보면서 과연 진짜 공부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 한국교육은 소수만을 위한 교육이다. 소수만의 경쟁이라면 한국이 핀란드를 이길 수 있을 것이다.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차를 정직하게 인정한다.

한국은 우열을 가리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핀란드에서는 우열이 아니라 아이들의 개인차를 존중하고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

 

‘Learning by doing- 행동으로 배운다라는 학교 교육방침에 대해 설명하는 소규모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말이 정말 매력적입니다. 지역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학교이고 경제적 논리가 아닌 교육을 위해 다가서는 교육정책도 멋집니다. 현재 시골의 작은 학교를 경제적 논리로만 다루는 우리의 교육정책과는 너무나 대조적입니다


어떻게 교육을 이익이 나는 돈의 원리로 다루는 몰상식한 생각을 할 수 있는지 한국의 교육부 정책을 구상하는 사람들의 머릿속이 가끔 궁금했습니다. 그들에게 공장에서 물건을 생산하는 것과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이 같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어질 때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일제강점기 그 험악한 현실 앞에서도 학교를 세워 공부를 했고, 포탄이 쏟아지는 한국동란의 어려움 속에서도 천막을 치고 학교를 열었습니다. 그런 민족이기에 공부가 가장 중요하고 공부만 살 길이라는 생각을 했겠지요. 그런데 이 문제가 변질됐다는 생각을 합니다. 못 먹고 못 살던 그 시대의 오직 공부가 지금은 내 새끼만 잘 되면 된다. 공부만 잘하면 된다.' 와 같이 오염되고 부패했습니다. 핀란드의 교실에서 새로운 교육의 정신을 다시 이식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교사는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과목을 배우는 하이들을 돕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는 생각은 매우 매력적이면서 철학적이기까지 하다. /p207


핀란드 교육의 모토는 시험이 나리라 자신을 위해 배우자.’이다. /231


수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수학을 배우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수학교사이다.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를 외면한 채 경쟁과 학력의 문제만 전면에 내세우면 악수(惡手)를 두게 된다.

 

커플인 두 학생이 서로의 몸을 만지면 수업을 하는 상상도 못한 상황이 연출되는 교실에서 핀란드의 교사는 말합니다. “남학생은 학교라도 나온다. 여학생은 어째든 수업에 참여한다.”이렇게 특별지도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지만 본인의 의사를 존중해 강제하지 않습니다. 놀라움과 틀에 박힌 생각만을 하던 저에게 부끄러운 자기반성이 됐습니다. 학생 개개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우선되면 아이들은 행복하게 학교에 오고 공부할 것같다는 뼈아픈 반성을 하며 교무실 문을 나섭니다. 먼 강가에 은사시나무가 바람에 흔들리고 바람은 차가울 것입니다. 감기 조심하십시오.  

 

폴란드 교실 혁명, 후쿠타 세이지 지음(박재원, 윤지원 옮김). 비아북, 2009

 

이선애 경남 지정중 교사 sosodang@naver.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