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와 소통이 생명의 모습이다

2017.06.12 15:25:01

변방을 찾아서

앞산을 내려 온 밤꽃내음이 무논에 찰랑거리는 강마을은 초여름의 싱그러운 기운으로 가득합니다. 망종을 지나 늦어버린 보리 베기가 바쁜 논에서 검부러기 태우는 연기가 아침나절 안개에 섞여서 기분 좋은 구수함이 느껴집니다.

 

도서관에는 아침독서에 열중하는 중학생들이 보입니다. 매주 독서 감상 발표와 인상 깊은 부분을 낭독하게 하지만 썩 즐거워 보이지 않습니다. 책이란 참 좋은 것인데, 어떻게 말로는 설명이 되지 않고 직접 몸으로 느껴야하는데 읽는 것이 싫은 아이들이 늘 고민스럽습니다. 도서관 서가 사이로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신영복 선생님의 책을 발견하였습니다. 이제는 뵐 수 없는 선생님의 모습을 다시 본 듯 참 반가운 책이었습니다


변방을 찾아서는 서예가로 이름 놓은 저자가 직접 자신의 글씨가 있는 곳을 답사하고, 그 글씨가 쓰여진 유래와 글씨의 의미, 그리고 글씨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처음 나오는 해남 땅끝마을의 서정분교부터 고 노무현 대통령의 작은 비석이 있는 경남 봉하마을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덟 곳의 변방을 답사한 이야기로 엮은 책입니다. 그의 글씨에는 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두껍지 않은 책이고 사진이 함께하여 기분 좋은 보리밭의 바람처럼 읽을 수 있었습니다.

 

우연이라고 생각했던 사소한 일들이 결코 우연한 조우가 아니라 인연의 끈을 따라 어김없이 만나게 되는 필연임을 깨닫는다. 잘못 배달된 편지 한 장, 길을 묻는 행인, 물 한 모금을 청하는 나그네라 하더라도 그것을 우연으로 접어버리기에는 어딘가 석연치 않은 마음이 되는 것은 그 때문인지 모르겠다. / 17P

 

인류사는 언제나 변방이 새로운 역사의 중심이 되어 왔다. 역사에 남아 사표가 되는 삶도 역시 변방의 삶을 살아 왔다. /25P

 

문명도 생물이어서 부단히 변화하지 않으면 존속하지 못한다. 모든 살아 있는 생명은 부단히 변화한다. 변화하기 때문에 살아 있는 것이다. 중심부가 쇠락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변화하지 못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변방이 새로운 중심이 되는 것은 그곳이 변화의 공간이고 창조의 공간이고, 생명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26P

 

집단이든 자연이든 국가나 문명의 경우든 조금도 다르지 않다. 스스로 조감하고 성찰하는 동안에만 스스로 새로워지고 있는 동안에만 생명을 잃지 않는다. 변화와 소통이 곧 생명의 모습이다. 어리석은 사람들에 의해 세상은 조금씩 새롭게 바뀌어 왔다는 사실이다. /27P

 

보리 베기가 거의 끝나가는 들판을 보며, 마냥 황금빛 보리밭으로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때가 되면 갈아엎고 그 땅에 새로운 작물을 심어야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교사로 자기 것에 안주하고 머물러 있다면 아이들과 소통하지 못하는 그저 답답한 선생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자신을 때립니다. 변화와 소통이라는 생명 본연의 모습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며 하루를 보내려 합니다.


점심을 알리는 종이 칩니다. 후닥닥 소리를 내면서 급식소를 향하는 아이들의 발소리가 타악기의 음처럼 들려옵니다. 즐거운 점심시간 되십시오.

 

이선애 경남 지정중 교사 sosodang@naver.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