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2년 제6차 교육과정 때는 남학생도 중학교 가정 교과를 필수 이수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양성평등을 실현하고 가족과 가정생활에 대한 남학생의 인식을 제고시켰다. 2002년부터는 고령사회 대비 노인교육자료 개발 연구 등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초·중등학교 보완교육 자료 개발과 학교 인구교육 담당교사 양성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의 변화를 유도했다. 또 2018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교육내용이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게 기여했다.
윤 교수는 저출산 고령 사회 대비 교육의 중요성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 인구교육학회의 발족에 참여하고 2012~2013년에 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