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지역과 농산어촌 지역의 교실. 극명하게 대비된다. 넘치거나 아니면 아주 모자란다. 중간이 없다. 그럼에도 통계 수치는 잘 나온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다보니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가고 있다. 정부와 교육 당국은 이를 놓치지 않고 교육여건 개선을 홍보하고 있고 한쪽에선 교원감축을 대놓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의 교실여건은 변한 것이 없다. 도시 학교의 교실은 여전히 복잡하고, 농산어촌에서는 선생님이 모자란다. 지역은 달라도 이들의 목소리는 같다. "평균의 함정에 빠지지 말고 선생님을 늘려달라"는 것이다.
◆콩나물교실…"결국 아이들이 피해"="한 반에 40명 이상의 학생들을 지도하다보니 교실이 좁아서 아이들 간 다툼도 잦고, 생활지도나 개별지도 측면에서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해 교사로서 늘 미안한 마음이에요. 피해는 결국 아이들이 받는 것 같아요…."(서울 A초 교사) 학급당 학생 수 31명이 넘는 과밀학급이 전국 5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밀학급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피해는 결국 학생들에게 돌아간다"며 "교원 증원 등 해소가 절실하다"고 주장한다.
초등 1학년 담임인 A초 교사는 40명 이상을 지도하느라 매일 녹초가 된다. 그는 "화장실이 급한 아이, 토하는 아이 1~2명을 케어하다 보면 나머지 38명을 방치하게 돼 안전에 대한 걱정이 크다"며 "학생 수가 많다보니 알림장 검사, 급식 배식 등에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학급 운영이 비효율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실이 좁아 활동수업은 엄두도 못 낸다"며 "마음 놓고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학급당 20명이 적당하다"고 강조했다.
과밀학급에 따른 어려움은 중등도 마찬가지다. 맞춤형 토의, 토론 수업에 특히 어려움이 많다.
경기 B고 교사는 "많은 반은 한 반에 45명도 있는데 이 인원으로는 토의, 토론, 협동학습을 원활히 진행하기가 어렵다"며 "1시간이면 될 것을 2시간 이상 끌게 되니 진도에 문제가 생기고 수업 질적인 측면에서도 차이가 많이 나 새로운 수업방법 도입이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3학년은 진로진학 상담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데 학생이 많아 선생님들이 밤늦게까지 상담에 매달리게 되고 체험학습 버스 45인승도 모자란다"며 "학생과 교사 모두 여러모로 제약이 따른다"고 토로했다.
◆복수학급 학생, 수업의 반은 자습=경북 C초 분교장은 전교생이 5명이다. 1·3학년 3명, 2·5학년 2명, 담임교사 2명이 두 개 학급씩을 가르치고 있다. 강원 D초 분교장 역시 전교생은 4명, 2·6학년 3·5학년이 한 교실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
D초 교사는 "한 학생을 가르칠 때는 다른 학년 학생은 자습시키는데 아무래도 수업의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작은 학교라서 가족 같은 분위기, 인성교육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교육적인 면에서는 아무래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일부 시·도에서는 복식수업 전일제 강사(보조교사) 등을 채용해 지원하고 있지만 지원자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강원도교육청 관계자는 "담임교사를 보조하고, 교원 자격증이 있는 경우 다른 교실에서 일정부분 수업도 할 수 있도록 했지만 지원자가 많지 않다"고 밝혔다.
중등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문제는 교사 부족이다. 엄밀하게는 과목 교사가 모자란다. 순회교사나 상치교사 등으로 보완해왔지만 교원 정원을 학급 수에서 학생 수로 변경한 이후 심각성이 더해졌다는 것이 현장의 의견이다.
충북도교육청 한 장학사는 "학생 수가 감소해 교사 정원이 줄게 되면 특정 과목의 교사가 없어지기도 해 아무래도 수업의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그렇게 되면 순회교사나 상치교사로 급한 불을 꺼야 한다"고 말했다.
상치교사나 순회교사의 증가는 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 2개 학교 순회교사로 근무한 적 있는 한 중학 교사는 "2~3개 학교를 맡다보면 소속감이 떨어져 해당 학교 선생님과 협력이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며 "학생 생활지도처럼 교과 외적이 부분에서 제한이 있다"고 밝혔다.
◆결국, 교원 증원이 해법=학생이 넘치는 도시지역이나, 교과 교사가 모자라는 농산어촌이나, 결국 교사를 더 뽑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입을 모은다.
신현욱 교총 정책교섭국장은 학생 수가 줄어든다고 해서 교사 수를 줄여선 안된다"며 "여전히 과밀학급이 많은 신도시나 도심지역에서는 교사 수를 유지·증원하면서 중소 학교로 분산시키는 중장기적인 정책을 함께 써야 한다"고 말했다.
천미경 강원도교육청 교원인사과장은 "전공교사 부족과 상치·순회교사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어촌 교육 현실과 소규모학교가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사회의 정신적·문화적 공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소규모학교의 통폐합보다는 적정규모의 학교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