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도덕] 감정읽기로 공감하는 능력 기르기

2017.10.01 00:00:00

미래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에 꼭 필요한 능력은 지금과 다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게 될 우리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 세 가지

첫째, 네트워킹 능력이다. 단순히 사람을 잘 사귀고 친화력이 좋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팀워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 동시에 기존의 여러 분야 지식과 기술을 네트워킹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전문지식과 기술이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공유지식이 되어가고 있기에 각자가 갖고 있는 지식과 전문기술을 협력하여 새로운 가치들을 계속해서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네트워킹의 또 다른 이름인 창의성이다. 창의성이란 지식이나 인지 기능이 아니라 오랫동안 축적된 경험이 교육의 힘으로 호기심과 질문들이 어느 순간 바깥으로 표출되어 사고를 네트워킹하는 것이다. 그런데 세계 석학들은 창의성을 ‘토론능력’이나 ‘화술교육’, ‘기술교육’이 아닌 ‘공감(empathy)능력’이라고 말한다. 더 진화된 알파고가 나올지라도 기술이 대처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능력이기 때문이다.


셋째, 세상과 나를 연결하는 공감능력이 필요하다. 공감능력은 나 자신을 다른 사람의 상황에 대입해보는 데서 출발한다. ‘다름’을 수용하고 인정하는 과정에서 이전에는 없는 새로운 관점들이 만들어지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융화하면서도 자신의 뜻을 부드럽고 조심히 관철시킬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단순히 감정적인 것을 다루는 소프트한 감성이 아니라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력이 바로 공감능력의 핵심이다.


위의 세 가지 중요한 능력 중 네트워킹과 창의성은 결국 공감능력에 달려있다. 그래서 학교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공감능력 기르기에 집중해야 한다.


공감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교육

학교에서 아이들의 갈등상황을 중재하면서 느끼는 점은 초등학생은 이성의 뇌가 먼저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뇌가 작동한다는 것이다.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한 아이가 공감을 받지 못하면 감정이 더욱 뒤틀리고 격정적으로 행동한다. 공감은 머리 혹은 배움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그리고 가슴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감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인지능력과 도덕성이 생기는 어린 시절 즉,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또한 공감능력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학습된 기술이다.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덴마크는 ‘높은 수준의 공감능력이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고 이는 행복지수 상승효과로 이 어진다’며 6~16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일주일에 한 번씩 정규 수업시간에 공감능력 키우기 수업을 진행한다. 결국 공감교육은 학교 교육에 있어 선택이 아니라 필수교육이 되어야 하며, 어릴 적부터 학습시켜야 함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강윤례 충북 내곡초등학교 수석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