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 70년… ‘새교육’ 70년

2018.06.11 09:43:07

월간 새교육 창간 70돌 맞아
특별좌담회 “우리 교육 표상”


[한국교육신문 김명교 기자] “한국전쟁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등 우리나라의 굵직한 역사를 함께 하며 지금에 이른 새교육은 그 자체가 대한민국의 표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월간 새교육 창간 70주년을 기념한 특별 좌담회가 7일 한국교총 회장실에서 열렸다. 좌담회에는 하윤수 한국교총 회장과 강선보 고려대 교수, 안병환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소장, 박정현 인천 만수북중 교사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미래 사회의 변화와 우리 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격의 없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하윤수 회장은 “고희(古稀)에 이르는 역사를 가진 교육 잡지라는 것만으로도 상징성이 있다”면서 “시대를 앞서 한국 교육계의 현안과 문제를 조명한 새교육의 정체성과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고 좌담회의 문을 열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현 정부의 교육 정책,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교육 패러다임 등에 대해 논의했다. 

안 소장은 “우리나라 교육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이 도입됐지만, 한국 교육과의 접목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안 소장은 “우리에게 맞는 교육 모델을 찾아야 한다는 건 지금도 유효하다”고 생각을 밝혔다.  
 
현 정부의 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우려스럽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국가교육회의 구성과 운영 방식에 대해 쓴 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중학교 3학년을 담당하는 박 교사는 “적어도 대학 입시만큼은 3년 전에 예고해줘야 준비를 할 수 있는데 무엇 하나 정하지 못하는 상황이 몹시 답답하다”며 “아이들이 딱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이어 “학생들을 위한다고 내놓은 9시 등교제, 학생 인권 조례 등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 되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안 소장도 국가교육회의 위원의 임기가 1년인 점을 꼬집었다. 중장기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육 정책 수립을 위해 존재한다는 설립 목적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안 소장은 “1년 후 연임을 한다고 해도 정책 추진하는 데 연속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단기적인 현안 해결에 초점을 맞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창간 70년을 맞아 앞으로 새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강 교수는 “정답을 찾는 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미래 세대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시대의 변화에 걸 맞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새교육과 교총이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교사도 “요즘 학교 현장의 가장 큰 문제는 무기력”이라며 “학생과 교사 등 교육의 주체가 무력감에 빠지지 않도록 새교육의 정신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 회장은 천자문의 ‘구고심론(求古尋論)’을 인용해 “새교육이 걸어온 길을 돌이켜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겠다”고 답했다. 
김명교 기자 kmg8585@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