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통일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삼국통일’ 등 관련 수업시간에 ‘우리의 통일’을 주제로 토론수업을 적용하곤 했다. 하지만 늘 무언가 아쉬움이 남았다. 그래서 2018년에는 제대로 된 통일교육을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천우신조인지 남북 관계에 큰 진전까지 있어서 더욱 즐겁게 임할 수 있었다. 이왕 시작한 것, ‘재미있고, 알찬 수업’을 만들기 위해 통일 관련 연수도 참여하고, 관련 도서도 읽으면서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 첫째, 변화된 시대에 맞는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최근 교직원 연수 및 TV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말은 ‘4차 산업혁명’이다. 시대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질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대가 필요로 하는 능력도 다르다.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형 인재를 만드는 최고의 교육>을 쓴 로베르타 골린코프와 캐시 허시-파섹은 암기만으로는 절대 배울 수 없는 ‘깊이 사고하는 힘’을 가진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미래가 원하는 아이의 역량 6C 중 4C 즉, 비판적사고(Critical thinking),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협력(Collaboration), 창의성(Creativity)은 여러 미래학자와 교육학자들이 새로운 시대·새로운 세대를 위한 새로운 능력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통일교육 역시 시대 변화를 담아 4C 역량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둘째, ‘생각하는’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거의 모든 학교가 매년 통일주간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마치 오래된 배경 그림처럼 늘 듣는 얘기, 통일에 대한 피상적인 활동과 단순한 행사 등 ‘알맹이 없는 활동’이 대부분이어서 현실감이 떨어진다. 오히려 행사가 끝난 후 ‘있던 관심’도 사그라지는 ‘공허함’이 밀려올 수도 있다.
통일부의 ‘2017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에서도 드러나듯, 통일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고등학교 이후부터 통일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자아가 급격히 성장하는 중학교 이후 통일 및 북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기회가 없었던 것 또한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생각하는’ 통일교육의 중요성은 커진다. 남북문제를 우리의 문제로 인식하고 그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무엇이 문제인지를 자기 생각으로 고민해 볼 때, 비로소 통일은 자신의 문제가 되고 행동하는 단계까지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 셋째, 변화된 남북상황에 맞는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평창올림픽 직전까지 북미관계는 매우 위태로웠다. 그러나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화해 분위기의 물꼬가 열리면서 남북 및 북미관계가 빠르게 전개되었고, 이를 통해 알려진 평양과 북한 사회는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것과 많이 달랐다. 따라서 이전의 통일교육 방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북한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는 많은 수정이 필요하다. 우리는 그들에 대해 너무 모르고 있었고, 여러 이유로 인해 왜곡되거나 편향된 정보가 많았기 때문이다. 상대를 알아야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 통일교육의 한 축으로 북한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변화된 상황에 맞는 시의성 있는 통일교육도 필요하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