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신문 한병규 기자] 정은경(사진) 질병관리청장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등교중지 조치로 인한 바이러스 차단 효과보다 학교의 사회적 가치 달성을 저해하는 피해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방역대책 수장이 공저자로 참여한 논문에 등교수업 권장 메시지가 담겨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 청장이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연구팀과 지난달 27일 소아감염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등교수업이 재개된 지난해 5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3∼18세 나이의 소아·청소년 확진자 127명을 조사한 결과 학교 내에서 감염된 환자는 2.4%(3명)로 극히 낮았다. ‘가족과 친척’으로부터 감염된 경우가 46.5%(59명)로 가장 높았고, ‘입시학원이나 개인 교습’이 14.2%(18명)로 그 뒤를 이었다. 코인노래방, PC방, 교회 등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감염 사례는 6.3%(8명)에 그쳤다.
지난해 7월 12일까지 발생한 국내 누적 확진자 1만3417명 가운데 0∼19세 소아·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은 7.2%이었으며, 학교 문을 닫기 전후의 비율 차이는 없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에서 ‘학교는 코로나19 감염 고위험 환경이 아니다’라는 내용으로 발표된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등교를 중지한 효과보다 이로 인한 개인·사회적 부담이 더 크다는 시사점도 제시했다.
그러나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은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시기별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방대본 측은 지금까지 학교에서 감염률을 낮춘 조건인 사전 준비, 모니터링, 의심환자 조기 배제 등이 지속될 때 이 같은 감염 전파 차단이 잘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당국 역시 조치를 당장 바꾸기는 어렵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당분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조치를 따르면서 방역당국와 긴밀히 논의한 뒤 결정한다는 게 교육부 등의 입장이다.